정부에서 일자리 관련한 정책을 보면 항상 "일자리 몇만개 창출" 이라는 말로 결론냅니다. 그런데 실제 일자리가 몇만개 생기기는 하는지 그 많은 수만개의 일자리가 생기는데 왜 나의 일자리는 없는지 궁금할 때가 있죠? 오늘은 일자리 창출 갯수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대한미국에는 년도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노동가능 인구인 만 15세 이상의 인구가 매년 50만명씩 생깁니다. 다른말로 하자면 매년 50만명씩 노동시장으로 인력이 쏟아져 들어온다는 말로도 표현되겠죠.


 하지만, 50만명 모두가 일자리를 필요로 하진 않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업 주부로 목표를 삼는 경우도 있을것이고 또는 물려받은 재산이 있어서 일자리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도 있을겁니다.


 50만명 중에서 약 60% 정도 일자리가 필요한 인구라고 가정합니다. 그 이유는 현재 만15세 이상의 인구중에 약 60% 정도가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즉, 고용율이 60% 정도 라고 말할 수 있겠네요.


 이런 논리로 보자면 매년 쏟아지는 50만명중 60%정도의 해당하는 30만명의 일자리가 준비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그나마 작년과 비슷한 상황이 이어집니다.


 매년 통계청에서는 새로 생긴 일자리 숫자가 나오는데, 그 숫자가 30만개를 넘어선다면 지난해보다 고용율이 좋아졌구나... 할 수 있으며 그보다 적으면 그 반대로 생각해도 무방합니다.


 그런데 매년 생기는 만15세의 30만명뿐 아니라 일자리를 열심히 찾아다는데도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분들과 일은 하고싶긴 하지만, 육아등의 이유로 일자리를 가지지 못하는 약 80만명 이상의 실업자들이 있으니 사실 매년 50만개씩 생겨도 좀 부족하긴 합니다.


 대한민국에는 약 2500만개의 일자리가 있습니다. 만 15세 이상의 인구중에서 약 60%에 해당하는 비율이며 이는 곧 고용율로 표현되는데요, 여기에 맹점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모두가 정규직이 아니라는점이죠. 일주일에 1시간 이상 일을 한다면 그 전부를 일자리로 인정하기 때문에 사실 고용율 자체만 따지기에는 비정규직 문제가 상당히 커질 수 있으니 그것또한 감안하면서 지표를 이해해야할것 같습니다.

Posted by myev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