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 하고 계신가요? 아마도 주식투자를 하고 계시다면 직투를 하고 계실거라 생각됩니다. 그것도 개별종목으로 말이죠.

저는 개별종목투자에 상당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각각의 개별종목이 어떻게 움질일지도 모르겠고 또한 뭔 일이 터져도 팔아야 할지 말아야 할지 판단도 서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는 ETF(상장지수펀드)를 통해 KOSPI지수 자체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무슨말인고 하니 코스피 지수를 추종하는 ETF에 투자하면 다음과 같이 수익이 발생합니다.

주가지수가 2%오르면 나의 ETF도 2% 오릅니다. 반대도 동일합니다. 주가지수가 2%내리면 나의 ETF도 2%내립니다.

주가지수 전체와 동일하게 움직이기 위해서는 주식시장에 상장되어있는 모든종목을 골고루 사서 시가총액비율로 보유하고 있어야 동일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려면 돈도 많이 들고 관리하기도 매우 어렵게 됩니다.

하지만 ETF라면 주가지수와 동일한 수익률을 가지고 가기에는 딱 적당하죠.

그런데 ETF가 어떻게 주가지수에 딱 맞춰서 오르고 내릴까요? 그렇게 가능한 이유는 바로 유동성 공급자가 있기 때문입니다.

ETF는 주가지수를 추종하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적정한 가격이 계산되어 집니다. 그래서 ETF는 비싸고 싸고 판단이 쉽죠.

ETF는 장중에 거래가 쉽기 때문에 순간적으로나마 적정가보다 낮을수도 있고 높을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에서 주가지수와 수익률을 맞출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는데요, 이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유동성 공급자가 있습니다.

ETF는 발행한 회사에서 유동성공급자 역할을 하게 됩니다. 유동성 공급자는 적정가보다 낮은 가격에 매도 하는 물량을 모두 매수하고, 적정가 보다 높은 가격에 매수하려는 물량에 대해서 모두 매도해줍니다.

즉 싸게 파는것들을 다 사들이고, 비싸게 산다는것들은 모두 팔아주는거죠.

이런 메커니즘을 통해서 ETF는 항상 적정가를 유지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런 유동성 공급자가 항상 일을 잘하는것은 아닙니다. 실시간으로 작동하지 않는 종목도 종종 있으니 ETF를 투자하려는 분들은 이 유동성공급자가 일을 잘 하는지 여부를 잘 판단해서 투자하는것도 좋을것이라 생각됩니다.

Posted by myeva
,


초 저금리 상황이 유지되고 또 조만간 또한번의 금리 인하가 있을법한 상황이기도 합니다. 물론 미국은 금리를 소폭 올리고 있지만, 아직은 한국에서는 좀 먼 이야기 같네요. 한국 경제를 위해서도 아직은 금리 상승의 시기는 좀 먼나라 이야기가 아닐까 싶습니다.


어쨌거나 그러다보니 자연스레 또다른 투자수단을 찾아나설 수 밖에 없는 현실입니다. 사실상 은행의 금리는 거의 제로 금리에 가까워 지고 있기 때문이죠.


그러다보면 어디에 투자할까~ 고민하는데요, 사실 따지고 보면 투자 수익률이 다들 대동소이 하고 비슷비슷하게 되어있습니다. 그렇다면 결국 별도의 비용이 적은 상품을 가입하는게 유리한데요, 그러다보면 결국 선택선상에 나타나는것이 바로 상장지수펀드 즉, ETF 입니다.


ETF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한다면 바로 저렴한 운용보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ETF도 결국 펀드인데 왜 ETF는 유독 운용보수(수수료)가 그토록 저렴할까요?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펀드는 내가 일일이 투자처(주로 주식)를 찾기 어렵고, 매일매일 관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투자 경력이 많은 투자 전문가들에게 맡겨서 내 대신에 자산을 운용시켜 수익을 만들고 그 댓가로 운용보수(수수료)를 지급하게 됩니다.


게다가 일반적인 펀드는 증권회사나 은행을 통해 다양한 서류를 통하여 가입해야 하고 제약 조건도 다양하게 있습니다.


그런데 ETF는 재미있게도 그러한 투자 전문가가 없는 펀드입니다. 뭔가 말이 이상하죠? 그럼 어떻게 수익을 결정하고 운용하게 될까요? 바로 이부분이 핵심인데요, ETF는 사전에 정해진 종목에 정해진 비율만큼 투자하기로 정해놓은 투자상품입니다.


ETF를 만들때에 이러이러한 종목에 이러이러한 비율로 무조건 투자한다는 조건을 만들어놓고 그대로 돌아가게끔 만들어 놓은것이죠. 그러니 전문투자자는 ETF를 만드는 시점에만 간섭하고 나머지는 자동으로 굴러가게 됩니다.


그러다보니 ETF는 사람에게 줄 운용보수(수수료)가 매우 적거나 없습니다.


ETF는 초반에는 거의 코스피200 지수를 추종하는 종목에 제한되어서 선택의 폭이 넓지 못했으나, 지금은 ETF 섹터 종목만 해도 다양합니다. 은행종목 위주의 ETF, 조선주 위주의 ETF 등과같이 업종별로 나뉘어저 있기도 합니다.


ETF는 거래 부분에서도 일반 펀드와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 어차피 사전에 정해진대로 돌아가기 때문에 별도로 복잡한 계약서가 필요 하지 않고 증권시장에서 일반주식처럼 장중에 원하는 금액에 매입과 매도를 할 수 있습니다.


덕분에 환금성이 매우 좋아 펀드보다 인기가 많아지고 있죠.


ETF는 어떻게 생각하면 환율하고 비슷하기도 한데요, 달러가 올랐을때 팔고 달러가 내렸을때 사는것 처럼 ETF도 이와 유사하게 거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KODEX와 같은 종목은 KOSPI200을 추종하기 때문에 개별종목의 상태를 신경쓰지 않고 지수 자체만 고려하면 되니 어떻게 보면 좀더 간단한 투자 판단이 가능하다고 생각되기도 하네요.

Posted by myev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