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이나 장마로 농작물이 수해를 입어 가격이 급등하는 경우도 있고, 날씨가 좋아 풍년이 들어 가격이 급하락 하는경우도 있습니다. 이럴때 정부는 농수축산물의 가격안정을 위해서 정부가 직접 비축을 해서 넉넉할때는 매입을 해두고 부족해질때는 정부에서 직접 내다 팔기도 합니다.

 

 

 정부는 대표적으로 맡에서 나는 농산물, 바다에서 나는 수산물, 돼지고기 소고기 같은 축산물 크게 3가지로 분류해서 비축해 둡니다. 모든 농수축산물을 비축하는것은 아니고 수요가 많은 대표적인 품목들 위주로 비축하게 된다고 합니다.

 

 사과나 배 같은 과실은 매입한뒤 저온 냉장 창고에 보관해두게 되는데 정부가 별도의 저온냉장창고를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민간업체의 시설을 빌려서 사용한다고 하네요. 통상 1년정도 보관하게 됩니다.

 

 수산물은 비교적 보관이 쉽습니다. 수요가 많은 품목을 미리 잡아다가 냉동보관하면 되기 때문이죠. 냉동보관이라 기간도 과일보다 길기도 하구요. 해당 품목의 가격이 많이 오르게 되면 중간 유통업자외에 재래시장, 대형할인마트등에 직접 내다 팔게 됩니다.

 

 소고기나 돼지고기의 경우에는 미리 저장하는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보관하지 않고 도축량 조절로 가격안정을 도모한다고 합니다.

 

 날씨에 따라 매우 민감한 채소의 경우에는 보관기간이 길지 않기 때문에 미리 사두는 방식이 아닌 계약재배방식으로 물량을 조절합니다. 일종의 선물계약이랄까요?

 

 배추같은 채소재배 농민과 계약을 하는것이죠. 어느정도 시장가에 근접한 가격으로 계약하게 되는데 계약한 재배농가는 약 20%정도의 시세 차이까지는 보상받게 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보다 더 차이가 나면 정부도 비싼값에 매입해줄 수 없어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고 역으로 시세가 많이 오르는경우에는 계약재배농가가 그냥 시장에 내다 팔아서 정부와의 계약건은 그냥 없던일로 하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일반적인 경우라면 계약재배 농가의 출하량을 조절하면서 가격안정을 도모하는 방식입니다.

 

 그런데 정부가 이렇게 비축한 물량을 푼다는 뉴스가 나와도 사실 물가 안정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것을 많이 느끼셨을겁니다. 그 이유는 정부의 비축물량이 아주 적기 때문이죠.

 

 과일은 정부 비축량은 전국민 1년 소비량의 약 7%, 수산물은 1%도 안된다고 합니다. 농협이나 수협, 축협과 함께 정부에서 여유있는 물량을 보유하면 좋겠지만 막대한 규모의 돈이 드는 작업이라 쉽지 않습니다.

 

 명절이나 자연재해로 농수축산물의 가격급등때 나오는 정부비축량에대한 뉴스를 들으면서 이정도는 알고 듣는다면 좋을것 같습니다.

Posted by myev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