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기준으로 약 8개월째 기준금리가 2.5%로 동결되었다고 합니다.



8개월째나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는 동결되었으니 금융기관의 저축상품이나 대출상품의 금리도 비슷비슷한 상황으로 유지되었어야 하는데 왜 금융기관들의 금리는 들쭉날쭉 제멋대로 일까요?


 우선 한국은행의 기준금리에 대한 이해가 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위키피디아의 한국은행 기준금리의 정의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韓國銀行 基準金利, The Bank Of Korea basemoney rate)는 금리 체계의 기준이 되는 금리이다.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은행 소속 기관인 금융통화위원회에서 매달 두 번째 목요일에 결정하며 금융 기관과 환매조건부증권(RP) 매매, 자금조정 예금 및 대출 등의 거래를 할 때 기준이 되는 정책금리이다.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7일물 RP매각시 고정입찰금리로, 7일물 RP매입시 최저입찰금리로 사용한다.


정부와 금융기관과의 거래에서 필요한 기준금리를 정하는것이죠. 이 금리가 다른 상품이나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크겠으나 반드시 영향을 끼처야 하는것은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가 오르고 내린다고 해서 반드시 따라가야 하는것은 아닙니다.


 사실상 금융기관들의 자금 조달과 대출은 정부와의 거래보다는 기업과 개인들과의 거래규모가 더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준금리도 기준금리이지만, 현재의 기업들의 자금상황, 개인들의 자금 수요상황에 맞춰서 움직인다고 보는게 더 맞다 할 수 있겠습니다.


 즉, 기준금리는 동결되었는데 대출 이자는 올라가고 예금 금리는 내려가는 현상이 발생한다면 시중에서 돈빌리려는 사람들은 점점 늘어나고 저축하는 사람은 점점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발생할겁니다.


 이처럼 시중의 상품은 기준금리와 무관하게 갈수도 있으니 기준금리가 동결되었다고 내가 사용하는 상품의 금리도 동결되리라 생각한다면 안되겠습니다.

Posted by myev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