툭하면 나오는 뉴스 소재중에 대표적인것이 바로 OECD국가중 한국의 평균 근로시간 뉴스일겁니다. 매번 상위권을 유지하는거야 뭐 익숙할정도가 되어버렸죠.



 그런데 이 평균 근로시간이라는것은 무엇을 근거로 수치화 하는걸까요? 대기업에서 제공한 평균 임금이나 평균 근로시간같은것을 자료로 하는걸까요? 아니면 정부에서 발표하는 자료를 취합해서 순위를 매기는걸까요? 만일 이렇게 자료를 취합한다면 사실상 무의미한 순위가 아닐까요? 오늘은 이에대해서 간단하게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우선 OECD는 특정 국가의 만들어진 자료로 취합하는것이 아니라 독자적으로 자료를 취합한다고 합니다. 한국에는 약 3만2천가구를 무작위로 뽑아 설문조사를 하는데 일간/ 주간/ 월간 근로시간이 어떻게 되는지 일일이 설문조사를 하여 통계치를 냅니다.


 그러니 야근이든 휴일근무든 잔업등등 모든 근로시간을 포함한 통계이기 때문에 상당히 실질적인 근로시간이라고 판단할 수 있게 되는것이죠.


 하지만 이 통계에도 약간의 오류가 포함되어있습니다. 그것은 1주일에 1시간 이상만 일을 해도 OECD통계에서는 근로자로 취급하기 때문에 정규직의 근로자건, 비정규직이건, 아르바이트건 1주일에 1시간만 일하는 사람이건 구분없이 모든 사람의 근로시간을 자료로 이용합니다.


 그러니 통계치 안에 하루에 4시간 남짓한 아르바이트를 하는 학생이 상당수 있다면 평균 근로시간은 조금 낮아지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겠습니다.


 즉, 국가별 평균근로시간은 국가 경제상황도 충분히 반영된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근로시간이 적은것이 경제가 너무 좋아서 적은일을해도 잘사는 나라라서 근로시간이 적을 수 잇겠지만, 경제가 워낙 나빠져 파트타임 근로자가 무수히 많아진다면 그 또한 근로시간을 줄이는 요소로 작용할테니까요.


 그러니 무조건적으로 근로시간이 낮다고 해서 마냥 부러워할 내용은 아니고 이런저런 상황들을 고려해서 순위를 이해해야할것 같습니다.


 

Posted by myev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