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을 다니다 보면 폐지를 수집하는 어르신들을 종종 만나게 되는데요. 볼때마다 궁금하죠.


 저렇게 모아서 팔면 얼마나 남을까? 얼마정도 남길래 저렇게 힘들게 폐지를 수집하는걸까? 라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


 이번엔 이와 관련된 내용을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우선 폐지는 시세가 정해저 있지 않습니다. 날짜별로, 지역별로 상당히 상이한 가격으로 조성되어있습니다.


 대도시들이 밀집한 곳은 상대적으로 비싸고 그렇지 않은곳은 조금 쌉니다. 그래봐야 10원 내외의 차이가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폐지는 Kg당 얼마 이렇게 계산하는데 150~200원 내외의 시세가 유지되고 경제상황에 따라서 이또한 변화된다고 합니다.


 그럼 이러한 시세는 누가 결정할까요? 바로 이런 폐지를 직접 사들이는 종이회사(제지회사)입니다.


 폐지는 통상 서너단계의 유통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폐지 유통단계를 역으로 설명해보겠습니다. 예를들어 제지회사들이 Kg당 200원에 매입한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우선 제지회사들은 폐지를 잘게 부수고 압축된 형태로 구매하게 되는데 폐지를 잘게 잘라 압축하는 회사들이 있습니다. 이런 회사들이 제지회사로 납품할때 Kg당 20원 가량의 마진을 남기는데 200원에 팔려면 180원에 폐지를 매입하야겠죠.

 곳곳의 고물상에서 폐지를 수집해 이런 잘게 잘라 압축하는 업체로 대량 판매하는 도매상들이 존재합니다. 이들 역시 Kg당 20원 정도 남긴다고 하는데 파쇄업체로 180원에 판매하려면 고물상에서 약 160원 정도에 매입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전국 곳곳의 고물상들이 통상 Kg당 20원 정도씩 남긴다고 합니다. 즉 도매업자에게 160원에 판매하려면 폐지를 수집하는 어르신들에게 140원에 매입해야 마진을 20원 남길 수있는 구조가 됩니다.

 물론 유통단계는 여기서 하나 정도 더 추가될 수 있습니다.

 이런 구조를 본다면 결국 제지회사에서 매입하는 금액에서 약 60~80원 가량 빠진 금액이 바로 폐지줍는 어르신들의 수입이 되겠습니다.

 결국 폐지의 시세는 최종적으로 매입하는 제지회사들이 얼마에 매입하느냐에 전적으로 달려 있습니다.

 하지만, 제지회사들은 국내에서 수집되는 폐지의 가격이 올라가면 폐지를 수입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갑의 위치에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제지회사들의 폐지 매입 가격 담합이 가능해지는데 정부는 이부분을 잘 감시한다고 합니다.

 그냥 쉽게 버리고 하는 폐지에도 이런 유통구조가 있다는게 참으로 재미있는것 같습니다.
Posted by myeva
,


 대형 마트 위주로 1+1 행사는 쉽게 볼 수 있죠?


 예전에는 그냥 하나 더 껴 주는 느낌이었다면 요즘에는 아예 1+1 or 2+1 형태로 포장이 되어나오기도 합니다.


 예전에는 이런걸 보면 일단 싸게 파는가보다~ 했었지만, 요즘에는 혹시 대형 마트가 중소형(?) 생산자들을 압박해서 밀어내기 식으로 저가 공급강요 등으로 누군가에게 불필요한 피해를 주는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게 됩니다.


 이게 다~~~~ 상도덕 없는 남양 때문입니다.


 어찌되었건간에, 이런 행사들이 과연 누군가의 피해로 인해 생기는건 아닌지 한번쯤 짚고 넘어가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서 포스팅을 한번 해보겠습니다.


 일단 이런 1+1, 2+1 등의 행사의 목적은 참으로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생산자의 생각일 수도 있고, 대형마트와 같은 유통업체의 생각일 수도 있고, 대리점과 같은 중소형(?) 유통업체의 생각일 수도 있습니다.


 생산자 입장에서 유리한 1+1 행사의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생산해놓은 재고 비용이 커지는 경우가 가장 큰 이유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올해 무지하게 더워질것을 예상하여 예상된 수요에 맞게 어마어마한 양의 아이스크림을 미리 제조해뒀습니다. 그런데 왠걸... 장마가 길고 태풍도 잦아들어 아이스크림 판매율이 그닥 높지 않아서 예상에 턱없이 못미치는 매출이 발생하여 너무많은 재고가 생긴경우가 되겠습니다.


 이런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유행에 민감한 악세사리같은 경우에 유행이 지나가버리면 판매 자체가 불가능한 제품인경우 다음 버전이 나오기 전에 완전히 판매하는것이 좋습니다. 이번에도 역시 수요예측과 실제 수요의 차이로 인해 재고 가능성이 보이게 되면 이런경우에 역시 제조사 주도로 1+1 행사를 하게 되겠죠.


 저렴하게 유통업자에게 넘겨야 하니 꽤나 큰 손해가 되지 않을까 싶을 수 있겠으나, 일반적인 회사라면 이런 경우까지 대비해서 가격책정 및 이익조정을 하기 때문에 아주 큰 손해는 아닐것입니다.


 유통업자에 입장에서 유리한 조건도 있습니다. 일단 1+1 행사의 기본은 거의 같은값(?)에 하나더 준다는 의미가 되니 다른 유통업체와의 경쟁에서 유리한 고지에 설 수 있습니다. 이왕이면 1+1 행사가 많은 유통업체로 몰리는것이 당연하니 말이죠.


 그리고 생산자와 마찬가지로 재고 문제인 경우도 있습니다. 생산자처럼 유통업자들도 수요를 예측해서 충분한 재고를 준비하기 때문에 수요예측이 빗나가는 경우에는 이 방법이 상당히 좋을 수 있습니다.


 물론 생산자와 유통업자 협업(?)에 의해 서로서로 리스크를 분담하면서 동시에 진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경우는 그나마 협력(?)하는 모습이 있으니 바람직 하다 하겠습니다.


 소비자 입장에서 한번 생각해보겠습니다.


 과연 이득일까(?) 싶습니다...


 당장에 이런 1+1 행사제품의 가격을 면밀히 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용량과 가격을 비교해보면 결코 경제적이라 할 수 없을겁니다.


 가장 중요한 단위당 금액을 비교하는게 제일 좋을것입니다.


 저는 제가 가장 좋아하는 씨리얼(과자)는 절대 1+1 행사 제품을 사지 않습니다. 당장에 내용물의 양이 적은 포장을 이용하지만, 겉으로는 거의 동일하게 만들어서 소비자의 눈을 속이고 있습니다. 총 중량대비 금액을 비교해보면 정상적인 단품이 더 싼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리고 애초에 가격에 거품이 없는 제품이라면 이러한 1+1 행사가 거의 불가능 합니다. 1+1 행사가 흔히 발생하는 제품이라면 그 제품엔 가격 거품이 있다는것을 말하는것입니다.


 시작과 조금 틀려진 결론으로 향하고 있는것 같네요;;;;;;;


 극히~ 일부 에서는 여전히 힘(!)을 이용해서 손해보지 않으려는 세력이 분명 있긴 하겠으나, 대부분의 경우에는 제가 설명드린 범주를 크게 벗어나지 않을겁니다.


 모두가 현명한 소비자가 되어서 이런 거품이 없는 유통구조를 형성하는게 나름 최선이 아닐까 하네요~

Posted by myev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