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이 많이 선선해서그런지 여기저기 이사하는 집들이 많이 보이는 요즘입니다.

보통 이사를 나가는 과정 그리고 이사를 들어가는 과정에서 중요한게 바로 이런저런 공과금 및 관리비 정산이죠. 부동산을 끼고 이사를 진행하면 이런 소소한 부분들은 어느정도 부동산에서 처리해주니 사실 별다른 문제가 없이 잘 흘러갑니다.

일반 주택은 조금 다르겠지만, 아파트의 경우에는 이사 나가는 날까지 관리비를 비롯해서 온갖 비용을 일할계산해서 정산을 깔끔하게 하고 이사 들어오는 사람은 이사 들어온 날 부터 비용을 부담하게 되니 사실 크게 어려울것도 없습니다.

하지만, 단 한가지 문제의 소지가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전기요금 입니다.

전기요금도 일할계산해서 잘 처리하면되는데 뭐가 문제냐 하시는 분들이 대부분이실텐데, 아마 아래의 내용을 읽고나면 충분히 이해가 가실겁니다.

일반적인 주택의 경우에는 이사나가고 들어올때에 주로 한전에 전화를 해서 나가는 사람은 나가는 날까지, 들어오는 사람은 들어오는 날 부터 정산하면 됩니다. 특별할 것이 없습니다.

그런데 아파트의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처리 했음에도 이사 들어오는 사람이 전기요금 폭탄을 맞을 수 있는 위험이 여전히 존재 합니다.

그 이유는 바로 전기사용량이 리셋되지 않는 이유로 누진세 폭탄의 가능성이 있는것이죠.

예를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전기 사용량이 평소에 많은 집이 있습니다. 이집은 한달에 약 800kwh를 사용한다고 치고 15일쯤에 이사를 나가게 되어서 그날까지 쓴 약 400kwh요금인 7만 8천원 정도를 정산합니다. 이사 들어오는 사람은 전기요금 정산을 한것을 확인하고 맘편히 사용합니다. 하지만 평소 전기를 많이 쓰는편은 아니라서 남은 15일 동안 200kwh를 사용했다고 가정합시다.

이런 경우에 이사온 사람은 아마도 200kwh를 사용했으니 본인이 지불해야할 전기요금은 2만 2천원 정도라고 생각하고 있을겁니다. 하지만, 이분이 실제 내게 되는 요금은 약 14만원이 됩니다. 약 7배의 전기요금 폭탄을 맞게 되는것이죠.

왜 이런일이 일어날까요?

바로 리셋되지 않는 아파트 전기요금 정산과 누진세의 콜라보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아파트의 경우에는 전기요금을 중간정산을 하더라도 사용한 전기량에 대해서만 부과하고 전기사용량을 리셋하지 않습니다.

이사 들어온 사람은 아래와 같이 200kwh에 대한 요금을 예상했을겁니다. 약 2만 2천원이죠. 당연히 정산후 200kwh 만 사용했으니까요.

하지만 실제 고지서를 받으면 아래와 같은 전기요금을 받게 됩니다.

기존에 살던 사람이 400kwh 만큼 사용했고 그에 대한 요금이 약 7만 8천원을 정산했으니 21만7천원 에서 7만8천원이 빠진 금액을 실제 납부해야 하는것이죠.

고작 200kwh를 사용하고서 14만원을 납부해야 하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이 발생하는것이죠.

일반적으로 아파트는 전기요금을 정산하더라도 계량기 리셋을 해주지 않기 때문에 고작 200kwh만 사용한 새롭게 이사 들어온 사람에게 매우 비싼 전기 요금 구간인 5단계와 6단계 전기요금을 적용하여 부과하는것이죠.

이러한 부분이 쉽게 해결되기는 어려울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주택은 가구별로 한전에 직접 계약되어 전기요금 정산이 용이하지만, 아파트의 경우에는 아파트 단지 전체로 계약해서 관리실에서 계량 및 정산 업무를 대신하고 있어서 발생하는 일입니다. 전기요금고지서가 별도로 나오지 않고 관리비의 전기 항목에 포함 되어 나오는것이 그 이유이기도 하죠.

그렇다면 이렇게 이사가서 첫달에 전기요금 폭탄을 맞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첫번째 방법을오는 가능하면 전기요금 정산 기준일에 맞춰서 이사를 하는것입니다. 전기요금 정산일은 동네마다 틀릴 수 있으니 한전에 직접 문의하시거나 관리실에 문의하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전기요금 때문에 이사 날짜를 바꿀 수는 없는 노릇이니 다른 대안을 제시하자면, 기존에 살던 분이 나가면서 전기요금을 잘정산했느냐만 확인하지 말고 실제 사용량이 어느정도인지를 같이 확인하는것입니다.

평소 내가 사용하던 전기량 보다 적게 사용하는 분이라면 크게 신경쓸 필요는 없겠으나, 평소 전기 사용량이 많은 분이었다면 그런 부분을 사전에 계약시 미리미리 합의 하거나 또는 이사 들어가서 전기요금 정산일 까지는 전기를 최대한 절약해서 사용하는 방법이 그나마 유효하겠습니다.

이런 불합리적인 구조가 있다는것이 이해하기 쉽지 않습니다만, 이사하시는 분들은 이사 들어가서 전기요금 사용량을 철저히 체크해서 생각치 않게 전기요금 폭탄을 맞지 않도록 신경써야 하겠습니다.

Posted by myeva
,

 아파트 관리비도 생활비에서 상당히 큰 비중을 차지하는 비용입니다. 급여생활자라면 작은것 하나라도 소득공제 세액공제를 받아서 환급받아야 살림에 보탤 수 있게 됩니다.

 

 그런데 이렇게 큰 비중을 차지하는 아파트 관리비가 현금영수증을 받을 수 없는데 그 이유는 도데체 무엇일까요?

 

 

 

 정답부터 간단하게 이야기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관리비를 납부하는곳이 영리단체가 아니기 때문이죠. 아파트 관리비는 관리사무소를 거쳐 아파트의 주민대표회의라고 하는 단체로 들어가게 됩니다. 거기서 아파트 단지 전체의 관리비로 사용하게 됩니다.

 

 이 주민대표회의가 주민끼리 모여서 만든 소모임의 성격이 있습니다. 마치 산악회나 동창회의 성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회비 냈다고 해서 산악회나 동창회를 상대로 현금영수증을 요구하는 일이 없는것과 같이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의외로 현금영수증이 적용되지 않는 곳이 많습니다. 현금영수증제도 자체가 소득을 신고하지 않는 자영업자의 탈세를 줄여보고자 만든 제도이기 때문에 매출이나 세원이 명확하게 표시되는곳은 적용되지 않는곳이 많죠.

 

 이런 생각이 들 수도 있습니다. 아파트관리비 안에는 전기요금, 가스요금등 다양한 부가적 요금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것들은 왜 현금영수증 처리를 해주지 않느냐 라는 생각말이죠.

 

  그런데 아파트관리비 속에 있는 대다수의 항목은 현금영수증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대표적으로 각종 세금, 전기요금, 수도요금, 가스요금, 인터넷요금, 전화요금등은 현금영수증 대상이 아닙니다.

 

 많은 분들이 오해하는 부분이 있는데 카드사용 = 소득공제 라는 공식을 깨어야 합니다. 모든곳에서 카드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용도에 따라서 소득공제 대상이 되는것도 있고 안되는것도 있기 때문에 카드 사용금액이 무조건 크다고 해서 모두다 소득공제 혜택적용이 되는것은 아닙니다.

 

 소득공제 대상이지만, 카드 사용이 어려운 곳에서는 현금영수증이라는 제도를 통해 내가 소비한 금액중 소득공제 대상이 있다는것을 증명하는것이죠.

 

 저도 이걸 찾아보면서 알게된 내용이지만, 무작정 현금영수증을 발행하지 않는다고 해서 나를 속이거나 내가 손해보는 상황은 아니라는 것을 알게되었네요.

Posted by myeva
,

 냉장고, 세탁기, TV와 같이 가정의 필수 가전제품중에 하나인 전기밥솥에 관한 이야기 입니다. 여름과 겨울에 항상 전기대란에 대한 이야기가 많고 항상 여기에는 에어컨이 주 절약대상이 됩니다. 하지만 제가 생각하기에 이 전기밥솥이 숨어있는 전기 하마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요즘엔 전기밥솥도 디자인이 발전해있고, 가격도 만만치 않습니다. 구입할때는 나름 심혈을 기울여 구입하게 되지만, 막상 사고나면 사용법에 대해서는 그닥 관심없고 대충 사용하게 되는것중에 하나일것 같습니다.


 이 전기밥솥이 소모하는 전기를 한번 확인해보고 이 전기하마를 다이어트 시킬만한 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이야기 하기전에 다양한 크기와 사양의 밥솥이 나와있는데 제일 범용적인 6인용 IH밥솥은 기준으로 한번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취사하는 경우에 전기를 가장 많이 소모하게 됩니다. 이것은 흔하게 알고있는 상식이라고 생각되는데요. 보온할때 전기는 얼마나 먹게 될까요? 그리고 많은 밥을 지어서 오래도록 보온하며 먹는게 절약일까요? 아니면 소량으로 필요할때마다 지어 먹는게 전기를 절약할 수 있을까요?

 

 제가 참고하는 모델의 최고 소비전력은 1027W로 약 1KW라고 생각하면 되겠네요. 밥을 시작하게 되면 대략 반시간 정도 걸리니까 500Wh가 소모되었다고 하겠습니다. 물론 밥짓는 양에 따라서 더욱 길게도 짧게도 걸리니 그에 합당한 전력량을 계산해보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밥솥이라는게 밥을 다 짓고 나면 모든 역할이 끝나는것이 아니죠. 해놓은 밥을 다 먹기 전까지 보온해야하는 역할도 합니다. 1시간 취사한 밥을 하루만에 다 먹는다는 가정을 하고 23시간 보온을 한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일반적인 밥솥의 보온 온도는 70도를 웃도는 온도를 유지합니다. 10시간 정도 보온온도를 유지하는데 대략 400Wh 전후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약 23시간 보온을하면 1000Wh정도 소모되겠죠?


 24시간이 싸이클인 사용 패턴의 밥솥 사용자라면 밥솥이 소모하는 전기량은 하루에 약 1.5KWh 정도 됩니다. 결코 적은 전기는 아니죠? 열량이 높아 전기소모가 많지만 비교적 사용시간이 짧은 전자레인지, 헤어드라이기와 비교하면 결코 만만치 않은 전기입니다.


 따지고 보면 소량의 밥을 매끼니때마다 새롭게 해먹는 전기량하고 비슷할 정도입니다. 간혹 밥 소모량이 적어 이 밥이 몇일씩 보온상태로 지속된다면 그 전기 사용량은 어마어마해진다고 생각되네요.


 밥짓는 싸이클이 하루보다 짧지 않은 사람이라면 매 끼니때마다 밥을 해먹는것이 훨씬 전기를 절약하는 방법이 되겟지만, 조금 번거로운 작업임에는 틀림없겠네요.


 그래서 가장 이상적인 전기절약법이 바로 냉동밥입니다. 한꺼번에 충분한 양의 밥을 지어서 냉동밥을 만들어 보온기능을 쓰지 않고 필요할때마다 전자레인지로 데워 먹는 방법입니다. 저도 한동안 냉동밥을 이용했었는데 오래도록 보온해둔 밥보다 밥맛이 훨씬 좋고 전기도 많이 절약되어서 아주 만족스러웠습니다.


 필요할때만 짧게 짧게 전기를 사용하게 되니 보온에 소모되는 많은 전기를 아낄 수 있으니 혹시나 전기세가 많이 걱정되는 분들이라면 밥짓는 패턴을 한번 바꾸어 보는것도 좋은 시도가 될것 같네요.

Posted by myev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