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곧 블프 시즌이 다가옵니다. 미국 라디오 채널에서는 이제 캐롤도 곧잘 나오고 있네요. 확실히 미국은 쇼핑시즌이 확실히 느껴지네요.

블프 시즌에는 주로 인터넷으로 쇼핑하시는 분이 많지만, 직접 여행가서 쇼핑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은 환전에 대해서 한번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혹시 그거 아시나요? 은행 마다 환율이 다르게 책정된다는 사실 말입니다.

예를들어 오늘 오전 10시에 환전을 한다고 치면 신한은행에서 환전할 때와, 우리은행에서 환전할 때, 하나은행에서 환전할때 모두 환율이 다릅니다.

환율은 외환시장에서 정해지는것인데 왜 은행마다 공시환율이 다를까요?

그 이유는 바로 달러 같은 외화는 외환 시장에서 사와서 내다 파는 물건이기 때문이죠. 쉽게 비교할 수 있는것이 주식입니다. 

주식은 같은 순간에 산다면, 삼성증권에서 사는것이나, 현대증권에서 사는것이나 가격이 다를 수가 없습니다. 개인도 주식시장에 직접 참여가 가능하기 때문이죠.

그런데 외화는 외환시장에 직접 참여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그래서 은행같은 금융기관에서 대신 사다 주게 됩니다. 대신 사다주는 대신에 일정 수수료를 추가로 받고 환전해주는것이죠.

사실 은행마다 공시환율이 차이가 있긴 하지만, 그 차이는 그렇게 크진 않습니다. 외환시장이 안정적인 시기라면 사실 어느은행에서 환전하더라도 거~의 동일한 시세에 환전이 가능할것입니다.

그런데 같은 공시환율에 환전을 했다 하더라도 사실 환전된 금액은 여전히 다를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수수료의 기준 차이죠.

모든 은행이 환전을 해줄 때 기준환율 + 일정비율의 수수료 형태로 외화를 사고 팝니다.

여기에서 기준환율은 같더라도 수수료의 비율이 다른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입니다.

어떤은행은 1%, 어떤은행은 0.7% 이렇게 수수료 기준이 다릅니다. 이러한 외화수수료는 사실 사람들이 관심을 잘 가지지 않는 부분입니다.

은행홈페이지마다 외환 안내 페이지에 가시면 각 외화마다 적용되는 수수료 기준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환전하러 가시기 전에 외환 수수료 부분도 따져가며 환전하시면 더욱 아낄 수 있을것이라 생각됩니다.


Posted by myeva
,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에 대해서 간단하게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주식투자를 하다보면 자사주 매입 후 소각처리 한다는 뉴스를 종종 접하게 됩니다. 당췌 이게 무슨말이고 이게 왜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지 쉽게 설명해볼까 합니다.

우선 자사주 매입이라는것은 상장된 회사가 회사돈으로 자기 회사 주식을 사는것입니다. 그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일단 이런 행위를 자사주 매입이라고 합니다.

이번 글에서 자사주 매입은 그 목적이 소각입니다.

소각이라고 하면 진짜 불에 태워서 없애는것 같이 생각되겠으나 실제로 불 지르는것은 아니구요 회사돈으로 자기 회사 주식을 구입한 뒤에 주주가 등록된 장부에 매입한 주식만큼은 이세상에 없는것으로 하겠다 하며 기록하는 행위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이상하기도 한 이런 행위가 당장에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이라니 쉽게 납득이 가지 않습니다.

이렇게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총 100주로 구성된 시총 100만원 짜리 회사가 있습니다. 그러면 대충 주당 1만원의 가치가 있겠죠? 이때 시총 100만원의 회사에서 주식을 총 10주를 매입한 뒤 소각을 하게되면 총 90주 만 남아있게되고 시총 100만원 짜리 회사가 되니깐 이제부터는 주식의 가치는 주당 1만원 보다 오르게 됩니다. 100 나누기 90이면 최소한 1보다는 커지니까요.

이런 상황에서 기존 주주들은 주식 숫자가 바뀐것도 아니고 새로운 주식을 받은것도 아니지만,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주식의 가치가 자연스럽게 상승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자사주 소각 후 주가가 다소 오르게 되는것이죠.

하지만 항상 좋은것은 아닙니다. 이렇게 주식을 매입하기 위해서 실제 10만원을 사용했을 기업이 향후 그 10만원 때문에 투자 기회를 놓치게 된다면 이 자사주 매입은 사실 부정적 영향을 끼치게 된것이죠.

다시한번 이야기 하자면, 기업이 현금을 불필요 하게 보유하고 있어봐야 이자가 생기는것도 아니고 마땅히 투자할 곳도 없을 때에 주주의 가치를 올리기 위해서 회사돈을 자사주 소각에 사용하게 됩니다.

통상적으로 자사주 소각을 하는 기업은 현금이 넉넉해서 방금 언급한바와 같이 돈을 가지고 있어도 쓸만한 곳도 없고 이자도 낮으니 그냥 주주가치를 올려버리는 결정을 할 수 있는 그런 회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니 일종의 호재가 되는것이죠.

이 글을 보는 분들의 주식도 이처럼 장사를 잘해서 현금이 남아도는 기업이 되길 바랍니다.

Posted by myeva
,


오늘은 조금 어렵게 느껴지는 양적완화를 쉽게 풀어볼까 합니다.


사실 양적완화라는 말은 뉴스에서, 매스컴에서 매우 자주 쓰이는 용어입니다. 그용어를 이야기 하면서 하는 표현이 바로 시중에 돈을 부린다는 말입니다.


양적완화를 한다고 하면 정말 시중에 돈을 막 뿌리는걸까요? 이부분은 실질적인 내용과 함께 이해하기 쉽도록 표현해보겠습니다.


양적완화가 돈을 뿌린다는 표현은 사실 틀린 표현은 아닙니다. 하지만, 말처럼 돈을 대량으로 생산한뒤에 누군가가 헬기를 타고 공중에서 돈을 막 뿌린다던지 아니면 불우이웃 돕기 하듯이 자산이 적은사람들 주머니에 얼마씩 쑥쑥 찔러준다던지 그런것은 아닙니다.


양적 완화를 좀더 정확하게 풀어보면 중앙은행에서 대량으로 화폐(돈)을 발행해서(찍어내서) 시중에 돌아다니는 장기채권(만기가 많이 남은 국채등)을 직접 사들인다는 말입니다.


양적완화를 하는 이유가 시중에 돈이 흘러다니지 않고 어딘가에 많이 묶여있어서 그것을 해소하고자 하는 목적에 시행하는것이기 때문에 장기채권을 매입하는데 많이 사용됩니다.


중앙은행, 한국이면 한국은행이 되겠죠?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낮추는것 또한 시중에 돈을 많이 풀고자 하는 방법중 하나로 쓰이긴 하지만, 사실 이 기준금리는 은행간 국가간의 돈을 짧은 기간 빌릴때 사용하는 금리를 정하는것으로 단기 금리에는 영향을 주지만 장기적인 금리에는 영향을 주지 못합니다.


중앙은행이 돈을 마구마구 찍어내서 시중에 현금이 묶여있는 장기 채권들을 넉넉히 사들이면 그만큼의 현금이 시중에 생기게 됩니다. 유동성이 생긴것이죠. 장기 채권들을 사줘서 발생하는 현금이 모두다 시중에 잘 흘러간다고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그 돈으로 다시 다른 장기 채권을 살 수도 있는것이죠.


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장기채권을 산 사람이 있다면 그것을 팔은 사람도 있다는것이니깐 어떻게든 시중에는 중앙은행이 채권을 사준만큼 현금이 융통되게 되어있습니다.


게다가 매력있는 채권이 없다면 또다른 투자처를 찾기위해 채권에서 다른 곳으로 현금이 흘러들어가는 효과도 생기게 됩니다.


다시 말하면 시중에 채권에 묶여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 자산들이 많으니 이것을 정부에서 사들여 뭔가를 할 수 있는 현금으로 많이 바꿔준다는 이야기가 되겠습니다.


양적완화의 금액 규모 자체가 어마어마하기 때문에 그 영향은 무시할 수 없으며, 양적완화 소식이 전해지면 주가지수가 영향을 받는것이 바로 이때문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돈이 주식으로도 얼마든지 들어올 수 있고 또는 회사투자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죠.


양적완화에서는 이정도로만 이해하셔도 어지간한 관련 뉴스나 이슈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거라고 생각됩니다.

Posted by myeva
,


초 저금리 상황이 유지되고 또 조만간 또한번의 금리 인하가 있을법한 상황이기도 합니다. 물론 미국은 금리를 소폭 올리고 있지만, 아직은 한국에서는 좀 먼 이야기 같네요. 한국 경제를 위해서도 아직은 금리 상승의 시기는 좀 먼나라 이야기가 아닐까 싶습니다.


어쨌거나 그러다보니 자연스레 또다른 투자수단을 찾아나설 수 밖에 없는 현실입니다. 사실상 은행의 금리는 거의 제로 금리에 가까워 지고 있기 때문이죠.


그러다보면 어디에 투자할까~ 고민하는데요, 사실 따지고 보면 투자 수익률이 다들 대동소이 하고 비슷비슷하게 되어있습니다. 그렇다면 결국 별도의 비용이 적은 상품을 가입하는게 유리한데요, 그러다보면 결국 선택선상에 나타나는것이 바로 상장지수펀드 즉, ETF 입니다.


ETF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한다면 바로 저렴한 운용보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ETF도 결국 펀드인데 왜 ETF는 유독 운용보수(수수료)가 그토록 저렴할까요?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펀드는 내가 일일이 투자처(주로 주식)를 찾기 어렵고, 매일매일 관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투자 경력이 많은 투자 전문가들에게 맡겨서 내 대신에 자산을 운용시켜 수익을 만들고 그 댓가로 운용보수(수수료)를 지급하게 됩니다.


게다가 일반적인 펀드는 증권회사나 은행을 통해 다양한 서류를 통하여 가입해야 하고 제약 조건도 다양하게 있습니다.


그런데 ETF는 재미있게도 그러한 투자 전문가가 없는 펀드입니다. 뭔가 말이 이상하죠? 그럼 어떻게 수익을 결정하고 운용하게 될까요? 바로 이부분이 핵심인데요, ETF는 사전에 정해진 종목에 정해진 비율만큼 투자하기로 정해놓은 투자상품입니다.


ETF를 만들때에 이러이러한 종목에 이러이러한 비율로 무조건 투자한다는 조건을 만들어놓고 그대로 돌아가게끔 만들어 놓은것이죠. 그러니 전문투자자는 ETF를 만드는 시점에만 간섭하고 나머지는 자동으로 굴러가게 됩니다.


그러다보니 ETF는 사람에게 줄 운용보수(수수료)가 매우 적거나 없습니다.


ETF는 초반에는 거의 코스피200 지수를 추종하는 종목에 제한되어서 선택의 폭이 넓지 못했으나, 지금은 ETF 섹터 종목만 해도 다양합니다. 은행종목 위주의 ETF, 조선주 위주의 ETF 등과같이 업종별로 나뉘어저 있기도 합니다.


ETF는 거래 부분에서도 일반 펀드와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 어차피 사전에 정해진대로 돌아가기 때문에 별도로 복잡한 계약서가 필요 하지 않고 증권시장에서 일반주식처럼 장중에 원하는 금액에 매입과 매도를 할 수 있습니다.


덕분에 환금성이 매우 좋아 펀드보다 인기가 많아지고 있죠.


ETF는 어떻게 생각하면 환율하고 비슷하기도 한데요, 달러가 올랐을때 팔고 달러가 내렸을때 사는것 처럼 ETF도 이와 유사하게 거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KODEX와 같은 종목은 KOSPI200을 추종하기 때문에 개별종목의 상태를 신경쓰지 않고 지수 자체만 고려하면 되니 어떻게 보면 좀더 간단한 투자 판단이 가능하다고 생각되기도 하네요.

Posted by myeva
,


 여전히 일본은 양적완화의 노력에 적극적인 상태입니다. 물론 뉴스에서는 일본이 양적완화를 점점 줄일 수도 있다는 내용이 나오긴 합니다만, 양적완화의 중단 논의가 아니라 그냥 여전히 돈을 열심히 찍어낸다는 내용이죠.


 이러한 양적완화의 영향으로 가장중요한 엔화가치가 떨어지면서 일본제품의 가격경쟁력이 강화되어 한국의 수출기업들이 은근 타격을 입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은 내수보다는 수출비중이 높은 국가이므로 영향이 상당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한국은 일본처럼 이렇게 양적완화 정책을 규모있게 풀지 않고있죠? 정부가 멍청해서 그냥 강건너 불구경하듯 하고 있을까요? 오늘은 일본은 양적완화가 가능하고 한국은 그렇지 못한 이유에 대해 간단히 이야기 하고자 합니다.


 일단 양적완화(돈풀기)를 하면 어떤 일들이 벌어지게 될까요? 당장에 외환시장이 들썩 거리기 시작합니다. 없던 돈이 막 생겨나니까 밖에서 보기에 그 가치가 떨어지는것은 당연하겠죠. 통화 가치가 조금씩 떨어지기 시작하게 됩니다.


 그러면 다음으로 즉각 영향받는곳이 금융시장입니다. 통화가치가 떨어지니 주식과 채권을 가지고 있는 해외 투자자들은 가만히 앉아 손해를 보게 생겼으니 선물이나 옵션으로 헷지를 시도하거나 핫머니라면 바삐 매도과정을 밟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채권 가치 역시 하락하고 주가지수 역시 하락하게 됩니다.


 다음은 원자재 수입 비용이 올라가 기업들의 수익이 급감하기 시작하겠죠. 수입물품의 결제 통화는 달러입니다. 하지만 달러가 비싸지니 수입비용이 올라가고 기업들 수익역시 감소하기 시작합니다.


 다음으로는 물가상승입니다. 원자재 비용증가도 한몫 하겠으나 재화와 용역이 큰 차이 없는 상황에서 돈만 많이 찍어대기 시작하면 그 자체만으로도 가격이 올라가겠죠. 이건 내부적으로 통화가치가 하락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만 봐도 이러한 큰 문제가 많기 때문에 선뜻 한국은 양적완화에 동참하기가 어려운것이죠. 그러면 일본은 어떻게 저런 강력한 양적완화가 가능할까요?


 바로 경제 규모와 체질(?)의 차이 때문입니다. 우선 양적완화로 통화가치가 떨어지는것은 사실이지만, 일본의 경우에는 달러 못지 않게 중요한 통화역할을 하고 있어서 위기엔 오히려 해외에 투자된 자금이 일본 내로 다시 들어오고자 엔화의 수요가 늘어나는 경우도 많아서 그 통화가치 하락의 위험성은 상당히 낮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해외 투자자들의 탈출이 이어지겠으나 그 빈자리를 일본내 자본이 충분히 커버하고도 남을 정도의 경제규모이니 역시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게다가 일본은 오래도록 물가가 상승하지 않은 상황이므로 어느정도의 물가상승은 감당할 수 있는 상태이기도 합니다.


 일본의 공격적인 양적완화가 일본 경제 및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것은 사실이지만, 잃는것에 비해 얻는것이 더 클것이라는 예상 덕분에 이런 결정이 가능한것이죠.


 한국도 어서 경제가 튼튼하게 발전해서 일본처럼 큰 흔들림 없는 체질로 바뀌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Posted by myev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