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source: http://i.telegraph.co.uk


오늘은 이름도 재미있는 헬리콥터 머니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헬리콥터 머니는 실제로 헬리콥터에서 현금을 뿌리는것은 아니구요. 마치 실제로 돈이 뿌리는것 처럼 정부가 직접 돈을 찍어내서 도로도 건설하고 각 가정에 직접 지원을 하기도 하는 정책들을 이야기 합니다.

정부가 정책을 집행하는데에 돈을 사용하는것이 뭐 특별한것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 재원의 차이가 있습니다.

평소에는 국민들의 세금으로 모여진 재원을 가지고 정책을 집행하고 돈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런 헬리콥터 머니같은것으로 정책을 집행하는경우에는 세금이 아니라 한국은행에다가 새롭게 돈을 찍어내게 한 뒤에 그 돈을 사용하는것이죠.

언뜻 들어서는 꿈같은 이야기죠~ 마치 돈을 쓰고 다 쓰고나면 내가 새롭게 돈을 만들어서 쓸 수 있으니까요.

이러한 정책을 사용하는 경우는 보통 경기가 위축되었을 때 입니다. 일반적으로 경기가 안좋아질 때에는 채권을 매입하고 집행해야할 정부 예산을 빠르게 소비한다거나 하는 재정정책들을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런 재정정책이 항상 잘 먹히는것은 아닙니다. 각종 재정정책을 사용했음에도 그다지 효과가 없을 때 긴급하게 한번씩 쓸 수 있는 정책이 바로 헬리콥터 머니 정책이죠.

마치 평소에는 향정신성물질이라서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약물들을 생사를 왔다갔다 하는 응급환자에게 제한적으로 사용하는것과 비슷한 이치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사람들이 경기영향으로 소비를 극단적으로 위축시키게 되면 돈이 돌지 않아서 경제활동에 큰 문제가 생기고 회사들은 운영난에 허덕이게 되며 그로 인해 근로자들의 임금체불과 같은 여러 사회 문제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필요에 의해서 정부가 돈을 찍어서 직접 소비를 하는것입니다.

정부가 대놓고 직접 돈을 쓰기 때문에 효과는 빠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럼 이런 정책이 좋기만 할까요? 돈은 무한정 찍어낼 수 있으니 이렇게 경기를 지속적으로 회복 시킬수는 없을까요?

안타깝게도 지속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위험한 정책입니다.

돈을 찍어서 사용하게 되면 당장에는 효과가 좋긴 하지만, 적당한 선에서 조절하지 못하고 막무가내로 이용하게 되면 한국의 원화가치가 크게 손상되게 되고 원화 가치의 하락으로 인해 한국에 들어와있던 외국자본들이 손실을 줄이기 위해 해외로 빠져나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런 외화유출 현상이 동시에 발생하면 과거 IMF와 같이 외환 위기가 올 수도 있습니다.

또한 이런 정책으로 인해 유통되는 현금이 넘처나면 현금이 너무 흔해져서 단기간 내에 물가상승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기는 좋지 못하는데 현금만 풀려 물가는 상승하는 최악의 스테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더더욱 제한적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이 정책은 최근에 사용한 이력이 있습니다. 작년 초 대우조선해양 사태가 발발하고 나서 갑작스러운 증자가 필요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복잡한 방법을 통해 증자를 진행시켰는데, 크게 보면 이 과정에서 한국은행의 발권력을 활용하여 진행했기 때문에 가까운 예시가 바로 이때입니다.

이런 정책이 사용되면 경제가 매우 어려운 사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이런정책이 사용되지 않는것이 가장 좋을것 같네요.

Posted by myeva
,

 바햐흐로 소셜커머스의 춘추전국시대가 마무리되어가고 있는것 같습니다. 한때는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던 소셜커머스 시장이 이제 좀 경쟁력 위주의 시장 재편성이 이루어지고 있는것 같습니다.

 

 이런 소셜커머스 시장이 커지게 된 배경에는 바로 파격적인 할인율이 있었습니다.

 

 

 어지간한 할인율가지고는 소셜커머스라고 이름 붙이기도 민망할만큼 파격적인 할인율이 많이 있었습니다. 물론 지금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구요.

 

 이런 소셜커머스들은 땅파서 장사하는것도 아닌데 왜 이렇게 싸게 판매할 수 있을까요? 과연 수익이 제대로 나는거긴 할까요? 이점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고자 합니다.

 

 소셜커머스 상품들을 찬찬히 살펴보면 대표적인것들이 맛집같은 음식들입니다. 다음으로는 숙박업체들도 상당히 많고 그다음으로는 서비스업들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들의 공통점을 찾아보자면 바로 마진율이 높은 업종이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예를들어 음식점을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음식별 매장별 메이커별로 상당히 차이가 크겠지만, 통상적으로 음식가격에서 재료비는 약 30%정도 비중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나머지는 인건비, 임대료 등등이되겠습니다. 이런 음식점에서 약 50% 할인해서 판다고 해서 당장에 큰 손해가 나지는 않습니다. 물론 원래 받아야 할 가격보다 낮게 받으니 이익이 매우 적어지긴 하겠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거의 노마진상태까지 갈수도 있구요.

 

 이렇게라도 해서 소셜커머스 형태로 할인을 하면 순간적인 고객유치에 상당히 유리하고 어차피 매일매일 준비하는 재료의 양이 정해져있으니 버리는 재료가 생기는것 보다야 조금이라도 남기거나 고객을 하나더 유치하는게 더 이득이니 전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숙박업 또한 비슷합니다. 숙박업은 고정비가 상당히 낮은 상태로 누구에게든 하루라도 사용하게 만들면 그자체가 전부 수익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상당한 비율의 할인으로 고객을 유치하더라도 숙박업이 크게 손해볼것은 없습니다. 원래 인기가 많은 숙박업이라면 그렇지 않겠지만 항상 어느정도의 여유가 생기는 숙박업이라면 그닥 손해볼것은 없는것이죠.

 

 그러면 이렇게 자영업자나 사업자가 직접 할인해주는것은 이해가 되지만 이러한 할인된 가격으로 판매하는 소셜커머스의 수익구조는 어떻게 될까요? 아주 간단합니다.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것입니다.

 

 예를들어 50%의 할인제품을 소셜커머스에서 판매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만일 만원짜리 제품이라면 5천원이 되겠습니다. 하지만 이것을 소셜커머스에서는 5~10% 이상 싸게 받아오는것이죠. 소셜커머스에서는 약 4천원에 사서 고객에게 5천원에 판매하는것입니다. 실질적으로 가맹점이 모두다 할인하는것이죠.

 

 가맹점 입장에서는 조금 배아픈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고객에게 할인해서 줄어드는 이익도 모자라 소설커머스가 이익을 낼 수 있도록 싸게 제공해야 하니까요. 하지만 이또한 무작정 손해는 아닙니다. 가맹점 단독으로 할인행사를 벌였을때 그 홍보효과는 매우 미비하지만, 소셜커머스는 그 할인에대한 홍보를 적극적으로 해주기 때문에 인지도 향상이나 단기간의 다수 고객모집에 상당히 용이하기 때문이죠. 이 비용 자체가 다른 수단에 비해서 그리 비싸지 않기 때문에 가능할것입니다.

 

 이런 할인과 수익구조가 적절히 맞물려 소셜커머스라는 시스템이 탄생되고 그 가운데 상당히 많은 재화와 서비스가 유통되고 있습니다. 처음 아이디어를 가지고 시장 형성에 성공한 사람은 참으로 대단한것 같습니다.

Posted by myev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