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주식시장과 비슷하지만, 달러 같은 외환을 사고 팔 수 있는 외환시장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주식시장은 이미 흔하게 알려져 있죠. 쉽게 계좌도 만들 수 있으며, 증권회사들이 각자 잘 만들어놓은 HTS 프로그램을 통해서 쉽게 거래도 가능합니다.

그러면 외환시장은 어떤점들이 다를까요?

우리가 보통 주식거래를 하게 되면 증권회사를 통하긴 하지만, 실제 거래되는 장소는 한국거래소를 통해서 주식을 거래하게 됩니다.

하지만, 외환시장은 주식시장과는 조금 다르게 두군데에서 거래하게 됩니다. 서울외국환중개와 한국자금중개 두군데에서 외환을 거래할 수 있습니다.

거래가능 시간은 오전 9시 부터 오후 3시 반까지 주식거래 시장과 동일합니다.

외환시장에서는 주식처럼 외화가 실시간으로 거래되기 때문에 가격도 거래에 따라서 실시간으로 변화합니다. 하지만, 은행 창구에서는 그 가격을 실시간으로 반영하기가 좀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은행에서 환정하는것은 각 은행마다 두 거래소에서 외환 거래를 담당하는 직원이 얼마정도에 정해주면 그것이 은행 창구에서 거래 가능한 달러 가격이 됩니다.

한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주식의 경우에는 그날 종가가 3시 30분에 최종적으로 거래된 가격이 그날의 종가가 됩니다. 하지만, 외환의 경우에는 3시 반에 거래되는 가격이 그날의 종가가 되는것이 아니라 그날 거래된 모든 외환(달러)의 가격을 다 합한뒤 평균을 내어서 그날의 종가를 결정하게 됩니다.

또 하나 작은 차이점이 있습니다. 주식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3시반에 거래가 종료되면 다음날 까지 기다려야 하지만, 외환시장의 경우에는 거래시간이 종료되더라도 NDF시장이라는 곳이 있습니다.

한달 뒤의 달러 가격을 가지고 거래하는 선물시장인데 이 시장은 24시간 거래되기 때문에 달러의 오르고 내리는것을 감안해서 거래하고 싶다면 이러한 시장을 활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외환시장에 대해서 알 필요는 없지만, 상식 수준에서 외화가 국내에서 어떻게 거래되는지 알고 있으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Posted by myeva
,

 여름방학 시즌이 지나가고 곧 있으면 추석시즌이 돌아옵니다. 명절특수중에 하나가 바로 이 영화시장입니다. 평소에 잘 가지않던 영화관이라도 명절 연휴를 활용해서 극장이용이 상당히 늘어나는 기간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극장에 가지 않더라도 TV에서도 상당히 다양한 영화를 해주기도 하니까 영화시장 전체를 본다면 분명 명절특수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런데 영화관에서 영화표를 가만히 들여다보면 영화발전기금 3% 포함이라는 문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건 도데체 무엇이고 왜 내야 하는걸까요?

 

영화 발전 인프라를 위한 기금을 영화보는 분들을 통해서 기금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이 영화발전기금은 영화진흥위원회(http://www.kofic.or.kr) 에서 주도하여 조성합니다. 이 돈은 영화 제작을 위한 세트장 건설, 유통지원, 투자 사업등 여러 영화발전을 위한 다양한 사업에 사용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영화진흥위원회 홈페이지를 방문하시면 자세한 용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기금은 한해 약 3백억원 정도 걷게 됩니다. 이 영화발전기금의 목표는 총 5천억원 입니다. 그러면 5천억원이 걷어질때까지 무한정 영화발전기금을 내야할까요? 그렇지는 않습니다. 법으로 2014년 12월까지만 기금 모집이 허용되어있다고 하니까 그때 되어봐야 계속 진행할지 중단될지 알 수 있을것 같습니다.

 

 예전에 제가 포스팅 했던 자조금 관련 포스팅도 이와같은 관련산업 발전을 위해서 걷는 금액이었습니다. 하지만 징수 주체가 소비자가 아닌 생산자라는점이 조금 다르긴 합니다.

 

2013/08/06 - [금전 상식] - 다양한 자조금관리위원회는 어떻게 운용되고 무슨 목적으로 운영될까요? (한우, 한돈, 계란, 낙농, 닭고기)

 

 하지만 결국 최종 소비자 가격에 다 포함되어있을것이니 누가 내는지는 사실 그리 중요한것은 아니죠.

 

 이런 기준으로 세상을 바라보면 참으로 다양한 산업에서 이렇게 자체산업발전을 위한 기금이나 모금 활동이 상당히 많습니다. 대표적으로는 국내 및 해외여행자에게 걷는 관광진흥기금이라는 비용도 있죠. 물론 이 비용은 해외여행을 위한 항공권을 구입할때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포스팅을 마무리 하기전에 한가지만 더 이야기 하겠습니다. 영화표가 1만원이면 수익 배분은 어떻게 될까요? 영화표 1만원에는 부가가치세 10%와 영화진흥기금 3%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면 약 8천7백원 정도 남습니다. 그러면 영화관과 제작사가 50%정도씩 반반 배분하게 됩니다. 제작사는 이중에 약 10% 정도는 배급사에게 다시 배분해주고 이후 투자자들에게 다음으로 배분하게 됩니다. 그러고도 남는 금액이 있으면 제작사의 이익입니다. 그러니 일정 관객수를 유치하면 본전이고 그때부터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수익들은 죄다 제작사의 이익이 되니까 손익분기점이 가장 큰 관심사가 아닐까 싶네요.

 

 요즘에는 한국영화도 외국영화와 견줄만큼 경쟁력이 있지만 더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라도 한국영화를 많이 봐주어야 할것 같네요. 그래야 국내 뿐 아니라 해외로 수출가능한 작품들이 만들어 지면서 더 많은 관객을 유치해서 산업 자체가 진정으로 부흥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Posted by myev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