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항상 오르는 물가에 불만이 많습니다. 자고나면 뭐가 오르고 자고나면 또 뭐가 오르고 안오르는 것은 오직 나의 월급이랄까요?

어쨋거나 물가는 이렇게 내려가는 경우는 잘 없고 오르는 경우만 존재합니다.

위에 그래프에 보는바와 같이 수십년동안 물가는 내려간적이 없습니다. 왜 물가는 오르기만 오르고 내리진 않을까요? 물가상승률이 0%가 되면 무슨 큰일이라도 나는걸까요?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사실 물가상승률이 0%가 된다고 해서 당장에 큰일이 벌어지진 않습니다. 내 월급 안오르는 만큼 물가도 안오르면 크게 손해볼것이 없기 때문이죠.

그런데 물가상승률이 0%인 상황에서 경기가 나쁜상황과 겹치면 이건 매우 큰 문제가 됩니다.

통상적으로 경기가 나빠지면 금리를 조금씩 내리면서 경기부양을 합니다. 첨에는 5%, 4%, 3.5% 2%... 이렇게 가다가 거의 제로금리에 가까워집니다.

거의 제로금리가 되면 사실상 무이자로 대출이 가능한 시대가 오게 되는데요, 이 때 물가가 조금이라도 오를 가능성이 있어야 사람들이 대출을 받고 투자를 하고 경기가 살아나게 되죠.

만일에 물가상승률이 0%라고 한다면 뭔가에 투자를 해도 수익이 거의 나지 않는 상황이 됩니다. 그러면 사실상 대출을 받아서 투자하더라도 남는게 없고 오히려 대출 수수료, 내 시간등만 낭비되는 상황이 되기 때문에 새로운 투자가 거의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금리가 0%인 상황에서 금리를 더욱 낮출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돈을 빌려가는데 돈을 더 준다면 이건 너도나도 돈만 빌려서 다시 갚고 다시 빌리고 하는 말도 안되는 구조가 되기 때문이죠.

이러한 이유에서 물가 상승률이 0%인 상황과 경기가 나빠지는경우가 겹치면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물가는 어느정도 수준에서 유지되는것이 좋습니다.

물가상승률이 1% 수준이라도 금리를 0% 까지 낮출 여지가 있고, 무이자로 빌려다가 어딘가에라도 투자하면 1% 수익을 낼 수 있기 때문에 그 효과를 여전히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죠.

정부에서 경기부양책이 먹히려면 물가상승률이 어느정도 일정 수준 이상은 유지되어야 한다는 참으로 아이러니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Posted by myeva
,

 매일매일 넘처나는 신제품때문에 조금만 지나면 구식이 되는 요즘입니다. 어제산 갤럭시S3가 지금은 완전 구닥다리 취급을 받게 되는것이 참으로 안타까울 정도입니다. 매번 새제품을 구입할 수 없다면 구입할때 조금이라도 오래쓰기 위해서 심사숙고해서 제품을 고르고 골라 구입하게 되는것이 일반적이죠.

 

 이렇게 어렵게 결정해서 구입한 전자제품이 고장나서 수리불가 판정이 나오게 되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예를들어 TV를 한번 생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보통TV는 핸드폰처럼 1년이나 2년만 쓰고 바꾸겠다는 생각으로 구입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것입니다. 보통은 5년에서 많게는 10년도 더 써야한다는 분이 상당수 일것으로 예상됩니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의 품질보증기간으 1년정도이고 이후 유상AS 라도 받기위한 부품보유기간 같은것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무상AS기간이 넘더라도 수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부품이 없어서 라던지 기타등등의 문제로 AS가 아예 불가능 한 상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럴때는 우선 제조사에서 정해둔 내용연수를 확인해보는것이 중요합니다. 제품 구입비 보다 비싸긴 하지만 수리가 가능하다고 하면 좀 문제이긴 하지만 어떻게든 수리를 해서 쓰고 싶은데 제조사에서 수리가 더이상 불가능 한 상황이라면 내용연수에 비례하는 금액을 산정해 보상해주어야 합니다.

 

 즉 100만원짜리 TV를 구입했는데 3년째 고장이나 수리불가 판정이 났습니다. 제조사는 이 TV의 내용연수를 5년으로 잡아두었다면 이 제품은 100만원 X 2년 / 5년 = 40만원을 제조사로부터 보상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런일을 예방하기 위해서 어떻게든 부품을 오래도록 보유하고 수리가 가능하게끔 하는 기업도 있겠지만, 그 수많은 제품 AS를 위해 다양한 부품을 보유하는것은 만만치 않은 일임에는 분명합니다.

 

 예를들어 10년정도는 거뜬히 쓸거라고 예상하고 산 경우라면 조금 억울할 수도 있습니다만, 구매자의 의도가 어찌되었건 정해진 내용연수가 보상의 기준이 됩니다. 이런 내용연수는 각 제조사별, 제품별로 상이하기 때문에 직접 문의해보아야 하는 부분입니다.

 

 간혹가다 이런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싼제품 하나가 수리요구가 들어와 수리를 해보려고 하니 당장 부품을 구할수도 없어서 수리가 불가능한데 이것을 밝혔다가는 내용연수에 비례해서 보상을 해주게 되고 이렇게 되면 손해가 날 수 있으니 일단 고객에게 새제품 보다 더 큰 수리비용을 제시하여 스스로 수리를 포기하게끔 하는 처리 방법입니다. 물론 그럴 수도 있다는것이고 일부 소설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방법은 회사의 수익성 차원에서 전혀 쓰지 말라는 법도 없으며 여차하면 비싼돈을 받은뒤 동일한 중고라도 수소문 해서 수리라도 해준다면 손해보는 장사는 아니게 되는것이죠. 이것또한 정보의 비대칭성이 극대화된 경우라서 소비자가 일방적인 피해를 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이런 가능성도 어느정도 있다는것을 염두하시고 수리 불가 판정을 받았을경우 현명하게 대처하시기 바랍니다.

Posted by myev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