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제유가의 급락 덕분에 상당히 저렴한 기름값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한때는 1800원~2000원에 육박했던 기름값이 1400원대를 유지하고 있으니 참으로 기분좋은 가격입니다.


외국에 나가보신분들이라면 두가지에 놀라게 됩니다.


첫번째는 저렴한 휘발류 값입니다. 한국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에 한번 놀라죠.


그런데 두번째로 놀라는 사실은 바로 휘발류 보다 경유가 더 비싸다는 사실 때문에 놀랍니다.


한국에서는 당연하게 경유가 더 싸다는 생각을 했는데, 막상 외국에서는 경유가 비싸다는 사실에 어처구니가 없는 경우가 많죠.


왜 그런지에 대해서 간단하게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대부분이 예상하시는것처럼 바로 세금 문제 때문입니다.


한국에서는 실제 기름값보다 세금이 더 많은 나라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외국 보다 훨씬 비싼 기름을 사용하게 되는데요, 세금을 어느쪽에 더 많이 받느냐가 한국의 기름값을 결정하게 됩니다.


한국에서는 일반 승용차에는 대부분 휘발류를 많이 쓰고 공업용이나 사업용 차량에는 경유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산업을 부흥하고 자영업에 힘을 실어 주고자 하는 의도로 경유에 비교적 적은 세금이 붙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승용차는 영업용 보다는 개인적으로 이용하는경우가 많죠. 그래서 일종의 부유세(?)형태로 휘발류에 많은 세금이 붙고 있습니다.


국내의 휘발류와 경유 가격차이는 어느정도 쉽게 이해가 가시죠? 그런데 국제적으로 경유가 더 비싼 이유는 왜그럴까요?


바로 수요와 공급의 차이 때문입니다.


기름의 질로만 따지면 경유보다는 휘발류가 비교적 환경오염이 덜하고 나름 고급(?) 기름입니다.


그럼에도 국제적으로 휘발류가 저렴한 이유는 바로 수요보다는 공급이 비교적 적기 때문이죠.


경유는 휘발류에 비해 폭발력이 좋아서 공업용으로 많이 쓰이게 됩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생산량이 적은것에  비해 수요가 많은 기름이기 때문에 휘발류보다 가격이 더욱 비쌉니다.


게다가 수요도 일정하죠. 휘발류는 경기나 여행시즌에 맞춰 수요가 오락가락 하지만, 경유는 아주 안정적인 수요가 있습니다.


수요와 공급의 차이에 의해 해외에서는 비교적 경유가 비싸게 팔리는것이죠.


아무쪼록 국제유가와 국내유가의 괴리감에 대해서 궁금증이 해소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Posted by myeva
,

 해외여행 막바지 시즌이라 항공료중 유류할증료에 대한 관심이 좀 적을것 같긴 하지만 항공료에 추가되는 유류할증료는 당연한듯 싶은데 생각해보면 왜 다른 교통수단에는 유류할증료가 별도로 없는지 문득 궁금해졌습니다.

 

 

 우선 유류할증료(Fuel Surcharge)라는것은 기름값이 대부분인 비행기 같은 운송수단에서 유동적인 기름값에 대처하기 위해서 항공료를 일괄적인 기준에서 정하는것이 아니라 항공료에서 기름값을 제외하고 먼저 정해놓고 나머지 기름값은 기름값 시세에 따라 정하게 됩니다.

 

 사실 유류할증료는 비행기에만 국한된 비용은 아닙니다. 배로 여행하는 경우에도 유류할증료를 별도로 내게 됩니다. 물론 비중이 크진 않습니다. 예를들어 일본으로 향하는 배의경우에는 약 1.5만원 정도의 유류할증료를 추가로 내게 됩니다.

 

 이 유류할증료는 국제유가의 일괄적인 시세에 의해서 정해지는것은 아니고 또한 항공사끼리 맘대로 정하는것은 아닙니다. 이 유류할증료는 정부인가를 받아야 하는 부분입니다. 각 항공사 별로 유류할증료를 책정하여 정부에 건의 하면 정부에서는 제출한 비용을 적절한지 검토후에 적절하다면 사용가능하도록 인가 해줍니다.

 

 이것은 국내 항공사 뿐아니라 해외항공사들도 국내에서 항공권을 판매할때 대한민국 정부에 유류할증료를 인가 받아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외국 항공사들이 국내 여행자들을 좀더 많이 끌어모으기 위해서 국내 항공사들보다 조금 낮은 유류할증료를 제시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이 유류할증료는 전세계를 7등분으로 나누어서 한국과의 거리에 비례해서 부과하게 됩니다.

 

 한국출발 기준으로 구간별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구간 : 일본·중국 산동성(웨이하이/옌타이/칭다오/지난)
 2구간 : 중국·동북아(홍콩/대만/하바로프스크/사할린 포함) 
 3구간 : 동남아(사이판/괌/팔라우 포함)
 4구간 : 서남아·중앙아시아(델리/타슈켄트/알마티 포함)
 5구간 : 대양주·중동
 6구간 : 유럽·아프리카
 7구간 : 미주

 

 구간별 명칭은 다르게 적용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유류할증료는 비행기가 출발하는 날 기준으로 잡는것이 아니고 구입하는 날 기준으로 하게 됩니다. 예를들어 6개월 뒤에 출발하는 항공권을 미리미리 구한다고 오늘 항공권을 구입하게 되면 오늘 기준의 유류할증료가 부과되고 6개월뒤에 원유값이 많이 오른다 하더라도 추가적인 비용을 지불하지 않게 됩니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는 미리 구입한 사람이 손해보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국내선의 경우에는 유류할증료가 없는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국내선은 유류할증료를 별도로 표기하지 않고 그냥 요금에 합산해서 없는것처럼 보이는것이지 국내선 또한 유류할증료가 별도로 책정되기 때문에 국제유가가 오르면 국내선의 요금도 일부 상승의 여지가 있다는것을 참고하시면 좋을것같습니다.

Posted by myeva
,

 국제유가는 주가지수, 금값, 환율과 같이 매우 중요한 경제지표중 하나입니다. 어디 산유국간의 다툼이라도 벌어질때면 어김없이 국제유가가 하늘을 치솟는다는둥의 뉴스를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국제유가를 이야기 할때 우리가 쉽게 접하기도 힘든 배럴(barrel)단위를 이야기 하는데 감도 오지 않고 왜 이렇게 쓰는걸까요? 또 1배럴은 도체 어느정도의 양이 될까요?

 

 이번엔 이 국제유가에 쓰이는 배럴에 대해서 간단하게 포스팅 해볼까 합니다.

 

 일단 배럴은 도데체 뭘까요? 우리가 흔히 보는 드럼통으로 불리는 깡통일까요? 거의 비슷합니다만, 정작 배럴통을 보면 아~~ 하실겁니다.

 

 

 

 이것이 바로 배럴통입니다. 흔히 외국영화에 쉽게 볼 수 있는 물건이기도 하죠. 특히 캐러비안의 해적과 같은 뱃사람 이야기가 나오면 항상 등장하는 물건이기도 합니다. 주로 포도주를 보관하는 용기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옛날에 미국에서 원유를 거래할때 이 배럴통에 담아서 거래하던것이 고착되어 지금까지도 원유 단위를 배럴로 사용하고 있는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배럴은 어느정도 양일까요?

 

 1배럴은 정확하게 리터단위로 변환하게 되면 158.9 리터가 됩니다. 이런 단위변환이야 네이버나 다음 구글같은 포털사이트에서 검색해보면 쉽게 나오긴합니다.

 

 이왕이면 세계공용표준인 리터단위로 쓰면 될것을 왜 어렵게 배럴단위로 표기해서 사람들을 번거롭게 할까요? 이 문제를 이야기하면 참으로 길어지긴 합니다만, 좀 짧막하게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국제표준과 관련된 이야기인데요, 여기저기서 사용하는 단위가 제각각이라 이를 통일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많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MGS 단위입니다. 미터(M), 그람(G), 초(S)입니다. 이중에서 시간은 어느정도 통일된듯 하지만, 길이인 미터와 무게인 그람이 문제죠. 이러한 문제는 사실 국내에서 상당히 심합니다. 대표적인게 금과 부동산이죠. 그람과 제곱미터 단위로 바뀐지 오래되었으나 아직까지 금을 살때는 한돈 두돈 단위로 사게 되고 부동산을 평가할때는 몇평인지 물어보게되죠.

 

 이처럼 사람들이 단위로 사용하는 기준을 바꾸는것은 쉽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직 여기저기서 어려운 단위를 그대로 씁니다. 편하니까요. 기존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겐 너무나도 친숙하고 편한 단위이기 때문에 이것이 통일되려면 상당히 시간이 걸릴것 같습니다.

 

 덤으로 국제유가 시세를 확인하는 방법을 살짝 알려드리고 포스팅을 마무리 하겠습니다.

 

 대표적인것이 네이버나 다음 금융페이지에서 확인하는것인데요. 다음은 여기로 방문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finance.daum.net/oil/international.daum

 

 국제유가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한번쯤 확인해보면 좋을것 같고, 원유같은 원자재에 투자하는 펀드도 많으니 유가가 시간이 갈수록 가치가 높아질것이라고 예상된다면 이런 원유펀드에 투자하는것도 나쁘지 않을것 같습니다.

Posted by myev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