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세상에 신용카드 하나 없는 사람 찾기란 하늘의 별따기 만큼 어려울것 같습니다. 그만큼 신용카드가 흔해진 세상입니다.

옛날 언젠가는 신용카드 자체가 부의 상징인 때도 있었지만, 지금은 그저 편리한 결제수단 중 하나이죠.

이렇게 많이 애용하는 신용카드가 이용이 늘어나는데에는 카드 할인이 큰 역할을 하고 있을겁니다. 어떤 조사에 의하면 신용카드 사용하는 이유중 1위가 신용카드 할인혜택 때문이라는 결과도 있을 정도이니까요.

하지만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신용카드 할인을 받으려면 전월실적 약 30만원 이상이 필요합니다. 사실 실적 따지기 시작할때엔 좀 억울한 의사표현을 하는 사람이 많았지만, 요즘엔 워낙 흔한 조건이니깐 그러려니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의 머리속에 약 30만원 이상을 써야겠다는 기준이 자리잡고 있죠. 열심히 써주려고 최대한 신용카드를 사용하게 됩니다.

그런데 그 전월 실적에 세금과 해외결제 사용분은 제외된다는 사실을 아시는 분은 별로 없을겁니다. 왜 그런걸까요? 세금이랑 해외결제에 특별하게 큰 혜택을 받는것도 아닌데 왜 실적까지 제외시키는걸까요?

그 이유는 바로 '돈'이 안되는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즉, 수익성이 없는 결제분이라는 이야기죠.

일반적으로 신용카드 사용자가 카드를 긁으면 카드사는 가맹점으로 부터 통상 2%정도의 수수료를 받아갑니다. 약 30만원을 카드로 쓰면 30만원에 2%정도인 6천원 정도 카드사가 수수료를 받아가는데 최소한 한달에 6천원 이상 수익이 나는 고객에게만 할인 혜택을 주겠다는 이야기죠.

그런데 세금은 2%보다 훨씬(?)낮은 1% 이하의 수수료를 받는다고 합니다. 사실상 수익목적이라기 보다는 기존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목적 수준에서 세금 결제를 받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카드사 편을 들어주고 싶지는 않지만, 수수료고 반밖에 안되는데 그것도 수익이 나는거 아니냐 라고 이야기 할 수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나가는 비용을 생각하면 어느정도 마지노선일 수도 있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대신 손해가 나는 수치라면 바로 철회하겠죠.

그리고 해외 결제분은 사실상 수수료가 거의 없는 0.2%정도의 수수료만 받는다고 합니다. 그러니 더더욱 수익에 별다른 도움이 안되니깐 실적에서 포함하지 않는것이겠죠?

하.지.만. 이 부분은 일부 동의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카드사는 수수료를 0.2% 정도만 받아가겠지만, 환가료 등의 이유로 환전과정에서의 수수료를 받아가는것이 만만치 않습니다. 물론 카드사의 직접적인 수입이 아닐 수도 있겠습니다만 최소한 카드사와 연계된 은행에서 직접 수익이 생길테니 크게 보면 수익이 전혀 안난다고 할 수 없을것 같습니다. 제가 공식적으로 찾아낸 자료가 있는 부분은 아니니 정확한 정보가 아닐 수 도 있으니 그저 그럴 수도 있겠다로 넘어 가시면 되겠습니다.

어쨌거나 신용카드사에서 세금결제분과 해외카드결제분을 전월 실적에 포함하지 않는 이유를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카드사가 마냥 퍼주기 형태의 서비스는 하지 않는 다는 사실은 분명하네요.

Posted by myeva
,

 전세난이 심각한 이유는 바로 금리의 하락 때문입니다. 집주인이 전세보증금으로 큰 금액을 받는다고 해도 마땅히 투자할곳이 마땅치 않기 때문에 수익성이 낮아져 전세보다는 일부 월세인 반전세 또는 보증금을 매우 낮춘 월세로 돌리고자 하는 수요가 상당히 많습니다.

 

 

 세들어 사는 사람들이야 어쩔수 없이 집없는 설움을 느끼지 않기 위해서 이 부분을 쉽게 거절할 수가 없습니다. 그러면 다음 문제는 전세를 월세로 돌릴때 어느정도의 월세로 책정해야 할까? 에 대한 부분입니다.

 

 예전에 금리가 많이 높았을때는 보증금 1천만원당 월세 10만원 정도의 비율로 전환하였습니다. 전세보증금 1억짜리 전세를 월세로 전환하게 되면 보증금 5천만원에 월세 50만원 정도 수준으로 바꾸는 정도였습니다.

 

 이러한 비율을 전월세전환율 또는 전월세환산율이라고 합니다.

 

 대충 이자 비용으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1천만원을 월세 10만원으로 환산하면 1년에는 120만원입니다. 이는 약 12%의 전월세전환율이 계산되게 됩니다. 물론 이 수치는 옛날의 수치입니다.

 

 금리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있는 요즘에는 이 수치를 유지하는것은 말도 안되죠. 그래서 최근 전환비율은 통상 5~7% 사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물론 이 비율에 대해서는 법으로 정해진 내용은 없습니다. 집주인과 세입자 당사자간에 합의에 의해 정하면 되는것이고 맘씨 좋고 넉넉한 집주인은 이 전환율이 낮을것이고 빡빡한 집주인은 이 전환율이 높을 수 있겠습니다. 물론 지역간의 차이도 무시하지 못할것이구요.

 

 요즘 추세를 반영하여 7%로 가정한다면 보증금 1천만원은 1년에 70만원이 될것이고 이것을 다시 월로 환산한다면 약 6만원정도가 되겠습니다. 그러면 1억짜리 전세를 월세로 전환한다면 5천만원 보증금에 월세 30만원정도 수준으로 내려가게 되겠죠.

 

 이런 월세마저도 금리의 영향을 받으니 이 금리라는것이 생활 전반에 영향을 주는 무시무시한 수치라고 느껴지는군요.

 

 금리가 지속적으로 낮아지면 전세를 월세로의 전환을 요구하는 집주인들은 더욱 늘어날것이고 불행중 다행으로 월세금액도 조금씩은 낮아지게 됩니다. 통상적으로 시중금리(저축)의 2배 가량정도가 되면 집주인들이 어느정도 수용하고 월세로 전환하게 된다고 합니다. 물론 통계치입니다.

 

 하지만 정해진 법이 없는관계로 인근 부동산이나 실제 매물들의 비율을 적당히 알아본다음에 요구하는것이 더욱 바람직하겠네요. 서울 강남,송파,서초 같은곳에서 5%도 안되는 터무니없는 비율을 요구한다면 씨도 안먹힐 수도있기 때문이죠;;;

 

 그나마 월세사는 사람도 집주인도 적당한 타협점을 찾아본다면 전세보증금을 올리되 정부에서지원하는 전세자금대출을 활용해서 집주인은 보증금을 올리고, 세입자는 낮은 이자비용으로 추가되는 월세를 최소화 하는 방법이 바람직해보입니다.

Posted by myev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