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혹가다가 대기업들을 까(?)기 위한 뉴스 또는 회사를 비교하면서 투자가치가 있는지 여부를 따질때 사내유보율에 대한 용어를 이용하게 됩니다.

 

 사내유보율(Accumulated earnings ratio) 이란 기업의 (자기)자본금에 대한 이익잉여금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라고 말은 하지만 쉽게 이해되진 않습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한 부부가 신혼을 시작하면서 약 1억원의 재산(전세보증금, 자동차, 적금등)으로 부부생활을 시작했고 약 10여년동안 열심히 모아서 자산 5억을 달성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신혼 초기에 비해 총 4억이 증가되었고 이런경우에 기업에 빗댄다면 사내유보율이 총 400%가 되겠습니다.

 

 회사로 다시 이야기하면 초기 자본금에 비해 현재 열심히 벌어서 사내에 보유하거나 다른형태의 자산으로 비축(?)해둔 비율을 이야기 합니다.

 

 통상 사내유보율이 높다하면 마치 대기업 회장, 사장의 금고 안에 가득 채워진 현금을 상상하기가 쉽습니다. 또는 버는것은 어마어마하게 벌고 절대 쓰지않는 구두쇠 같은 기업의 형태가 떠오르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것은 오해의 소지가 다분한 상상입니다. 왜냐면 이익잉여금의 형태는 대다수가 현금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 현금성 비율은 그리 높지 않습니다.

 

 이익잉여금을 가지고 회사 집기류를 구입하고, 사무실을 늘리고 공장 기계를 새로 들이면서 연구활동에 다시 재투자 하는경우에 이익잉여금의 형태가 집기류나 부동산 또는 특허권과 같은 형태로 다양하게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내유보율이 높다고 해서 정상적인 기업활동 대신에 비리가 많고 구두쇠 같은 기업을 상상해서는 안될것입니다.

 

 물론 사내유보율이 터무니없이 낮다면 회사를 제대로 운영하지 못한다는것을 반증하기도 합니다만, 무작정 높다고 해서 비난하고 할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구성을 잘 살펴봐야 할것입니다.

 

 사내에 현금을 수북히 쌓아놓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려면 현금성 자산인 유동자산이 전체 자산중 어느정도 비율이 되는지를 따져봐야 할것입니다.

 

 사내유보율은 어마어마하게 높지만, 재투자가 활발하여 정작 현금성 자산이 거의 없는 기업들도 있는것이 사실입니다. 투자자라면 단순히 사내유보율이 높다고 해서 이런 재투자를 활발히 하는 기업을 등한시 여기면 안되겠죠?

 

 사실 이런 용어는 기본적인 회계지식을 착실히 공부했다면 별다른 오해를 불러오지 않겠습니다만, 다양한 지표들을 이용해 좋고 나쁨을 쉽게 쉽게 판단하고자 하는 습관이 회사의 가치를 오히려 왜곡시키는 역할을 하지 않나 싶습니다.

 

 나름 결론은 대차대조표를 제대로 이해합시다. 이런저런 지표는 내가 스스로 만들어봅시다!

Posted by myeva
,

 가요순위 프로그램이나 K팝스타, 나가수 같은 프로그램에서는 시청자의 실시간 참여를 독려합니다. 대부분 전화 참여 또는 문자 참여방식이죠. 게다가 라디오프로그램에서는 실시간 의견 수렴을 문자로 대부분 하게 됩니다. 이때 대표적으로 이용되는 번호가 일반 휴대폰 번호가 아닌 #XXXX 형식의 샾+4자리 숫자입니다.

 

 

 대표적으로는 짧은 문자(80byte, 40글자)는 50원의 정보이용료, 그 이상의 길이는 100원의 정보이용료가 붙는다고 통상적으로 안내가 됩니다. 이러한 비용은 어디서 어떻게 배분이 될까요? 모두다 방송국이 가지고 가는 수익일까요? 이 부분에 대해서 간단하게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우선 첫번째로 정보이용료라는것은 통신사에 내는 문자비용(정액제라면 무료)과는 별도로 방송국에 간단하게 문자를 보낼 수 있는 서비스 그 자체를 이용하는것에 대한 비용이라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이름이 비슷해서 뭐가먼지 이해가 잘 안될때가 많죠. 가령 인터넷으로 인기프로그램 다시보기를 하기 위해 500원을 지불했다면 내가 사용하는 인터넷 요금과는 별도로 그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비용이기 때문에 전혀 별개이죠. 이렇게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대신에 과금을 통신사에서 한꺼번에 하다보니 좀 문제가 많긴 합니다.

 

 어쨌건 정보이용료의 30% 가량은 우선 통신사의 수익입니다. 통신사를 통하지 않고서는 이런 서비스가 불가능 하니까 통신사들의 이용료가 당연히 포함되어야 겠죠.

 

 나머지 70%의 배분은 어떻게 이루어 질까요? 이 70%중 35%는 인포뱅크라는 회사 몫이고 나머지는 방송사의 몫입니다. 여기서 생뚱맞은 인포뱅크라는 회사는 왜 나온걸까요? 사실상 #XXXX 의 짧은 번호를 활용한 문자 수신 방식에 대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이 회사의 특허 덕분에 방송국에서 실시간으로 시청자 및 청취자들의 의견수렴이 가능해진것이죠.

 

 저는 주로 MBC라디오 프로그램들을 자주 듣는데 MBC에서 이용하는 번호가 #8001입니다. 일반 사용자들이 이쪽으로 문자를 보내면 MBC의 문자 수신처에서 한꺼번에 다량의 문자를 받을 수 있게됩니다. 예를들어 일반 휴대폰 한대를 가지고 통상적인 문자 형식으로 죄다 받는다면 번호도 길어질 뿐 아니라 어지간한 휴대폰 성능으로는 그 대량의 문자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할겁니다. 개인 휴대폰이면 문자 갯수가 사실상 무제한이라고 하긴 하지만 그 갯수를 합해봐야 10만개 이하일겁니다. 이정도로 많은 문자가 저장되면 아마 스마트폰이 상당히 느려질겁니다. 유명한 방송국이라면 이렇게 받는 문자가 수십만건이 넘어갈것이기 때문에 이는 휴대폰으로 처리할 수 없는 정도이죠.

 

 만일에 통신사에서 먼저 이런 아이디어(특허)를 만들었다면 이 몫은 전부 통신사들의 수익이었겠으나, 인포뱅크라는 곳에서 특허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기술을 이용하는 이용료에는 전부 인포뱅크의 특허사용료가 포함되어있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이제 나머지 35%는 방송국의 직접적인 수익이 되어 사은품의 재원으로도 사용할것이고, 프로그램 비용충당에도 사용하겠죠.

 

 예를들어 유명한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100만건의 투표문자를 받았다고 가정해볼까요?

 1,000,000 X 50원(모두 짧은문자) = 50,000,000원

 5천만원의 비용이 발생합니다. 이중 30%는 통신사의 몫이니까 15,000,000만원은 통신사가 가지고 가겠네요. 그리고 35%는 인포뱅크의 몫이니까 17,500,000원 정도는 인포뱅크가 시스템을 제공한 댓가로 받아갈것이고 이와 동일한 17,500,000원 정도는 방송국의 몫이 되겠습니다.

 

 사실 안프로그램에서 100만건의 동시다발적인 문자를 받는것은 쉬운일은 아닙니다만, 여기서 중요한것은 방송국 입장에서는 광고수익에 비해 그다지 큰 비용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그저 시청자 및 청취자들의 선물비용정도로만 충당되지 않을까 하는정도이구요. 인포뱅크의 수익은 상당하게 느껴집니다.

 

 공중파 및 각종 케이블 채널에서 이 짧은 #xxxx 형식의 문자를 하나씩 수신할때 마다 17.5원~35원의 수익을 발생시키게 되니까요. 이처럼 특허의 위력은 상단한것 같습니다.

 

 여기까지 문자정보이용료에 대한 간단한 포스팅을 마칠까 합니다.

Posted by myev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