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기준금리 조정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요즘과 같은 불황에 적극적으로 이용되는게 바로 재정정책인데요, 거기에 핵심이 기준금리 조정입니다.

경기가 불황이면 금리를 조금 낮춰서 시중에 돌아다니는 돈이 많아지도록 하기도 하고, 경기가 호황일 경우에는 금리를 조금 높여서 시중에 현금을 회수하기도 합니다.

원리와 이유는 충분히 알겠는데, 항상 보면 0.25% 단위로 조절합니다. 0.1%로 세밀하게 할 수도 있고 0.1이 마음에 안들면 0.05 등의 비율로도 조절 가능한데 말이죠.

사실 여기에는 특별한 이유가 있는것은 아닙니다. 한국은행과 같은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조절할 때 0.25% 단위로 해야한다는 법 같은것은 없습니다.

0.25% 단위로 조절하는것은 기존에 항상 그렇게 해오던 이유가 클 수도 있을것이구요, 또한 여러 학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에서 시장에 영향을 주는 수준이 0.25%가 적당하다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라서 그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0.25% 단위로 하게된 이유나 유래 같은것은 쉽게 찾아볼 수가 없었습니다.

으례 하계되는 불문율 같은것일까요?

최근에는 금리가 충분히 낮아진 상태이기 때문에 이 상황에서 0.25% 기준으로 조절하기에는 꽤나 큰 폭으로 느껴질 수 있어서 0.1%단위로 조절하자는 의견이 많이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반면 전 세계에 모든 은행이 0.25%를 고수하는것은 아닙니다. 대부분의 중앙은행에서는 0.25%단위로 조절하긴 하지만, 헝가리 국립은행이나 덴마크 국립은행에서는 0.35% 또는 0.2% 등의 비율을 사용하기도 했었다고 합니다.

0.25%기준으로 조절하는것에 대해 특별한 이유가 없음에 다소 실망스러운 부분이 있긴 하지만, 때로는 계산으로 나온 값 보다 경험적(?)인 숫자들이 더 효율적인 경우가 있으니 그냥 받아들이는것도 괜찮을것 같습니다.

Posted by myev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