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크게 언급되는 경우는 많지 않지만, 여전히 심심치 않게 기업들이 담합을 하다가 공정거래위원회에가 발각되어 과징금을 무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쩌면 너무 자주 일어나서 사람들이 무감각해졌다고 이야기 할 수도 있을것 같네요.
어쨌거나, 담합은 어떤 방법으로든 소비자에게 불필요한 비용을 지불하게 하고 그것을 서비스하거나 판매하는 기업의 초과 이득이 발생하기 때문에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그래서 공정거래위원회의 역할이 갈 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어쨌든 담합을 걸리게 되면 어마어마한 과징금을 내야 합니다. 그 과징금의 금액은 매출의 10%에 해당하는 금액까지 과징금으로 과금할 수 있기 때문에 기업들로서는 조심해야 하는 부분이죠.
그런데 담합으로 소비자에게 피해를 준 기업이 공정거래 위원회의 과징금을 맞고도 개선의 모습을 보이기는 커녕 과징금은 과징금이고 내가 파는건 별개다 라는 식으로 가격에서 변화가 없는것이 대부분입니다.
왜 그런걸까요? 안타깝게도 담합을 하지 않았다면 적정한 금액이 얼마였을까에 대한 답을 내리기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우선 공정거래위원회도 담합 사실 자체를 적발할 수는 있겠으나, 담합을 하지 않았다면 원래 가격은 얼마였을까를 계산해낼 수 없습니다. 그래서 과징금이 매출액에서 10%이내의 과징금을 매기게 되는겁니다.
어떻게 보면 상당히 직관적인 벌금 형태입니다. 그런데 재미있는것은 담합한 기업들도 정작 적정한 금액이 얼마였을까 하는 답을 내리지 못한다는것입니다.
그러면 직접 피해를 본 소비자들은 어떻게 해야 한단 말일까요?
안타깝게도 아직은 개별적인 민사소송을 통해서 해결을 해야합니다. 내가 이러이러한 상황에서 이만큼 피해를 보았으니 보상을 해달라고 소송을 별도로 진행해서 보상을 받아야 하는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만일에 과징금이 선진국처럼 어마어마한 금액 수준으로 올라간다면 답합 억제력이 더욱 커지니 소비자가 억울하게 피해를 보는 일은 좀더 줄어들지 않을까 싶네요.
'금전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정페이는 불법일까? 계약서를 썼으니 합법일까? 논란의 중심에 대해 이야기 하다. (0) | 2015.03.03 |
---|---|
어디든 따라다니는 지방교육세! 어디에 따라붙고 어떻게 쓰이는지 알아봅시다. (취득세,등록면허세,자동차세,담배소비세등) (0) | 2015.03.02 |
왜 정부에서 스마트폰 보조금을 제한하는 이유는 도데체 무엇일까요? 법정보조금이 생긴 이유를 확인해보자(단통법) (0) | 2015.02.11 |
공공주택을 짓는 LH공사 SH공사는 왜 두개로 나누어서 운영할까요? 그리고 공기업으로 운영하는 이유도 알아봅시다. (0) | 2014.11.24 |
자동차(차)가 필요할때 리스를 할까? 렌트를 할까? 이두개의 차이는 무엇이고 뭐가 이득인지 궁금하다. (0) | 2014.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