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국제지표 한가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노동생산성이라는 단어를 들어보셨나요? 국가경쟁력을 비교하는 경우에 종종 언급되는 지수입니다. 특히 OECD 국가중 몇위라는 말을 종종 들어보셨을겁니다.

한국처럼 노동 강도가 강하고 밤새 일하는 나라도 많지 않은데 한국이 노동생산성이 좋지 않다고 하면 좀 억울한 면도 있습니다.

우선 노동생산성이라는 것은 어떻게 구해지느냐하면 간단합니다.

기업에서 물건을 생산해서 판매하는 가격을 팔아하는 물건을 만들기 위해 들어간 노동시간으로 나눈값입니다.

만일에 피자 가게에서 가게 주인이 만원짜리 피자를 1시간에 10판을 팔았다면 10만원 매출이겠죠? 그런데 10판을 만드는데 들인 시간은 1시간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피자가게 주인은 노동생산성이 10만원이 되겠습니다.

이 노동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위에서 언급한 식을 간단하게 활용하면 됩니다.

판매 가격을 올리거나, 만드는 시간을 줄이거나 또는 같은 시간에 더 많이 만들면 됩니다.

여기에 노동생산성의 함정이 숨어 있습니다.

노동생산성이 낮다고 하면 통상 노동자들이 놀고 먹기 때문이라며 노동자(근로자)탓을 하기가 쉽습니다. 하지만 판매 가격이 떨어지기만 해도 노동생산성은 낮아집니다. 또한 만들어도 팔리지가 않는 상황에서는 만들 필요가 없으니 잘 팔리지 않을것을 감안해서 적게 만들어도 노동생산성이 낮아집니다.

이런 상황에서도 낮은 노동생산성이 근로자 탓일까요? 한번쯤 생각해봐야 합니다.

사실 노동생산성이 낮은 이유는 대부분 해당 국가의 물가때문인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에 피자 가게에서 피자를 파는데, 가스오븐 성능이 좋지 않아서 1시간에 10개 팔던것을 5개 밖에 팔지 못한다면 이런 경우에는 많이 만들고 싶어도 못만듭니다.

또한 많은 직원과 많은 오븐을 준비해두어도 재료수급이 잘 되지 않는다면 역시나 노동생산성은 낮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예를 하나 더 들어보겠습니다.

국내 자동차 회사에서 한사람이 한시간 동안 일해서 3천만원짜리 자동차를 생산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그러면 그 사람은 노동생산성이 3천만원이겠죠.

그런데 독일 유명 자동차 회사에서 한사람이 한시간 동안 일해서 1억짜리 자동차를 생산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그러면 독일에 있는 사람의 노동생산성은 1억원이 되겠죠.

이런 상황에서 한국에 노동자는 놀았고 독일에 노동자는 3배 넘게 일한것일까요?

노동생산성은 노동자의 근로집중도 보다는 그나라의 경기나 물가 그리고 노동환경에 의해 영향을 더 크게 받기 때문에 노동생산성을 해석할 때 많은 주의를 해야합니다.

Posted by myev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