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히 사람들은 나의 신용등급에 대해 상당히 민감한것 같습니다. 살면서 몇번 쓰게 될지도 모르는 신용등급을 위해서 부단히 노력하는 모습을 많이 보게 됩니다. 그 덕분에 연체를 하지 않으려는 노력도 많이 보이고 대출도 가능한 적게 쓰려고 노력하니 따지고 보면 긍정적 효과가 있는것 같긴 합니다.
예전과는 다르게 신용등급을 조회한다고 해서 그 평점에 악영항을 미치지 않다 보니 신용등급을 자주 확인하는 분들도 많아진것 같습니다.
그런데 나의 신용도가 조회하는곳마다 틀리게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건 왜 그런걸까요?
우선은 신용등급을 매기는 기관은 상당히 많이 있습니다. NICE신용평가와 KCB뿐 아니라 이것을 참고해서 각은행별로도 각각 다른 신용등급을 매기고 있으며 신용카드사 또한 별도의 신용등급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2곳의 신용평가사의 정보를 토대로 하긴 합니다.
그런데 거의 같은 정보를 가지고 등급을 매길텐데 어떤곳은 조금 높게, 어떤곳은 조금 낮게 나오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이유는 바로 등급을 매기는 로직 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신용등급은 각각 아주 복잡한 과정을 통해 나오는 1개의 변수입니다. 그 과정이 복잡하기도 복잡하고 서로 좀더 정확한 지표로 자리잡기 위해서 그 과정도 다르게 사용합니다.
예를들어 어떤 기관은 고객의 연체 정보에 가중치가 높은 곳도 있을것이며, 어떤곳은 고객의 현재 사용중인 대출금액에 대한 정보 가중치가 높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어떤곳은 금융거래기록이 없는 사람보다 오히려 많은 사람의 가중치가 높은곳도 있을 수 있겠죠.
그렇기 때문에 어떤 한 기관의 신용등급이 절대적인 수치가 될 수는 없을겁니다. 대부분은 큰 차이가 없이 유사한 등급이 나오겠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그 등급이 차이가 있을 수 있고, 대부분의 기관에서는 한곳의 등급만 참고하진 않을겁니다. 한곳에서 유독 유리한 고객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죠.
그러니 금융기관에 방문해서 내가 이러이러한데 신용등급이 이렇게 낮을 이유가 없다라며 본인의 주장만 하기 보다는 신용평가사에서 주로 참고하는 금융정보가 무엇인지 한번 알아보는것이 좀더 바람직해 보입니다.
'금전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잉크값. 잉크가 포함된 프린터 보다 잉크가 더 비싼현실. (0) | 2013.12.08 |
---|---|
전국 대표번호 1588, 1566, 1600, 1544 등에 관한 간단한 요금정보 (0) | 2013.12.05 |
개인정보유출에 대한 집단소송 승소시 참여하지 않는 사람도 보상받을 수 있을까? (0) | 2013.12.03 |
명절이나 크리스마스 빼빼로데이 같은날에 생긴 선물세트 재고는 어떻게 처리될까 (0) | 2013.11.21 |
전용면적이란 무엇이고 크기가 다른 아파트라도 전용면적이 같은 이유를 알아보자, 분양면적의 허와실 (0) | 2013.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