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항상 오르는 물가에 불만이 많습니다. 자고나면 뭐가 오르고 자고나면 또 뭐가 오르고 안오르는 것은 오직 나의 월급이랄까요?

어쨋거나 물가는 이렇게 내려가는 경우는 잘 없고 오르는 경우만 존재합니다.

위에 그래프에 보는바와 같이 수십년동안 물가는 내려간적이 없습니다. 왜 물가는 오르기만 오르고 내리진 않을까요? 물가상승률이 0%가 되면 무슨 큰일이라도 나는걸까요?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사실 물가상승률이 0%가 된다고 해서 당장에 큰일이 벌어지진 않습니다. 내 월급 안오르는 만큼 물가도 안오르면 크게 손해볼것이 없기 때문이죠.

그런데 물가상승률이 0%인 상황에서 경기가 나쁜상황과 겹치면 이건 매우 큰 문제가 됩니다.

통상적으로 경기가 나빠지면 금리를 조금씩 내리면서 경기부양을 합니다. 첨에는 5%, 4%, 3.5% 2%... 이렇게 가다가 거의 제로금리에 가까워집니다.

거의 제로금리가 되면 사실상 무이자로 대출이 가능한 시대가 오게 되는데요, 이 때 물가가 조금이라도 오를 가능성이 있어야 사람들이 대출을 받고 투자를 하고 경기가 살아나게 되죠.

만일에 물가상승률이 0%라고 한다면 뭔가에 투자를 해도 수익이 거의 나지 않는 상황이 됩니다. 그러면 사실상 대출을 받아서 투자하더라도 남는게 없고 오히려 대출 수수료, 내 시간등만 낭비되는 상황이 되기 때문에 새로운 투자가 거의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금리가 0%인 상황에서 금리를 더욱 낮출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돈을 빌려가는데 돈을 더 준다면 이건 너도나도 돈만 빌려서 다시 갚고 다시 빌리고 하는 말도 안되는 구조가 되기 때문이죠.

이러한 이유에서 물가 상승률이 0%인 상황과 경기가 나빠지는경우가 겹치면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물가는 어느정도 수준에서 유지되는것이 좋습니다.

물가상승률이 1% 수준이라도 금리를 0% 까지 낮출 여지가 있고, 무이자로 빌려다가 어딘가에라도 투자하면 1% 수익을 낼 수 있기 때문에 그 효과를 여전히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죠.

정부에서 경기부양책이 먹히려면 물가상승률이 어느정도 일정 수준 이상은 유지되어야 한다는 참으로 아이러니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Posted by myeva
,

초 저금리 시대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예전같으면 0.05% 정도 금리 차이정도에는 그리 쉽게 움직이지 않을텐데, 요즘에는 0.05% 금리만 더 줘도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시기가 된것 같습니다.

경기가 불황이나 더욱 심한것 같기도 하네요. 시장이 불안하면 자연스레 눈을 돌리게 되는것이 바로 채권시장입니다.

채권은 나라가 망하지 않는 이상에 이자를 못받을 가능성이 거의 없으며, 경우에 따라서 시세 차익을 노릴 수도 있기 때문에 많이들 활용하시는것 같습니다.

그런데 채권 투자하시는 분들중에는 이런 부분들이 이해안된다고 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뉴스나 매스컴에서 "요즘 채권 금리가 상승하고있다" 라고 이야기 나오면, 채권에 주는 이자가 더 높아져서 사람들이 채권을 더 많이 찾고, 그러면 채권이 인기가 좋으니 나의 채권 수익률도 좋아져야 하는것이 아닌가? 하면서 말이죠.

언뜻 들어보면 맞는말인것 같습니다.

하지만, 조금만 차분히 들여다보면 저게 말이 안된다는것을 바로 알 수 있습니다. 그 이유를 차근차근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채권은 국가에서 발행하고 발행할 때 10년에서 길게는 30년짜리로 발행하게 됩니다. 대신에 조건이 붙죠. 바로 이자율입니다.

채권이 발행됨과 동시에 그 채권의 이자율이 정해지고 정해진 이자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채권을 금융상품으로 접근하면 조금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니 채권을 닭으로 비유해볼까 합니다.

모든 닭은 태어날 때 한달에 달걀을 낳을 수 있는 숫자가 정해진다고 가정하겠습니다.

현재 가지고 있는 닭이 한달에 달걀 10개를 낳습니다. 다른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달걀도 10개를 낳습니다. 모두 비슷한 닭을 가지고 있죠. 그러면 그 닭의 가격도 어느정도 선에서 정해질겁니다.

이 닭을 가지고 있으면 매달 10개의 달걀을 먹을 수 있고 조금은 비현실적이지만, 수명은 매우 넉넉하게 길다고 생각해봅시다.

그런데 어느날 생명공학의 결과로 달걀을 한달에 20개 낳을 수 있는 닭이 탄생하게 됩니다. 수량은 많지 않지만 조금씩 생기고 있죠.

이런 상황에서 매달 10개씩 낳는 닭이 인기가 좋을까요? 달걀을 20개씩 낳는 닭이 인기가 좋을까요? 당연히 20개씩 낳는 닭이 인기가 좋을겁니다.

그러면 상대적으로 10개 낳는 닭의 인기가 줄어들고 거래되던 가격은 낮아지겠죠. 혹여나 누가 10개씩 낳는 닭에 거액을 투자했다고 치면 닭의 시세 하락으로 상당한 손실을 보게 될겁니다.

반대의 경우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10개씩 낳는 닭만 있는 상황입니다. 그런데 뭔가 환경이 변화해서 지금부터 태어나는 닭은 한달에 5개밖에 낳지 못합니다. 그러면 기존에 10개씩 낳던 닭의 가치는 올라가고 거래되는 가격도 올라갈겁니다.

누군가가 10개씩 낳던 닭에 거액을 투자했다면, 달걀을 팔아서 번 돈보다는 닭을 팔아서 벌게되는 돈이 더 커질 수 있습니다.

채권은 닭, 이자는 달걀로 비교해보시면 금방 이해가 되실거라 생각이 됩니다.

채권 금리가 상승한다 = 새로나오는 채권에 이자를 더 많이 준다. = 내가 가진 기존의 채권은 인기가 없어진다.

이렇게 이해하시는게 적절하겠죠~

Posted by myeva
,

주식투자 하고 계신가요? 아마도 주식투자를 하고 계시다면 직투를 하고 계실거라 생각됩니다. 그것도 개별종목으로 말이죠.

저는 개별종목투자에 상당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습니다. 각각의 개별종목이 어떻게 움질일지도 모르겠고 또한 뭔 일이 터져도 팔아야 할지 말아야 할지 판단도 서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는 ETF(상장지수펀드)를 통해 KOSPI지수 자체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무슨말인고 하니 코스피 지수를 추종하는 ETF에 투자하면 다음과 같이 수익이 발생합니다.

주가지수가 2%오르면 나의 ETF도 2% 오릅니다. 반대도 동일합니다. 주가지수가 2%내리면 나의 ETF도 2%내립니다.

주가지수 전체와 동일하게 움직이기 위해서는 주식시장에 상장되어있는 모든종목을 골고루 사서 시가총액비율로 보유하고 있어야 동일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려면 돈도 많이 들고 관리하기도 매우 어렵게 됩니다.

하지만 ETF라면 주가지수와 동일한 수익률을 가지고 가기에는 딱 적당하죠.

그런데 ETF가 어떻게 주가지수에 딱 맞춰서 오르고 내릴까요? 그렇게 가능한 이유는 바로 유동성 공급자가 있기 때문입니다.

ETF는 주가지수를 추종하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적정한 가격이 계산되어 집니다. 그래서 ETF는 비싸고 싸고 판단이 쉽죠.

ETF는 장중에 거래가 쉽기 때문에 순간적으로나마 적정가보다 낮을수도 있고 높을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에서 주가지수와 수익률을 맞출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는데요, 이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유동성 공급자가 있습니다.

ETF는 발행한 회사에서 유동성공급자 역할을 하게 됩니다. 유동성 공급자는 적정가보다 낮은 가격에 매도 하는 물량을 모두 매수하고, 적정가 보다 높은 가격에 매수하려는 물량에 대해서 모두 매도해줍니다.

즉 싸게 파는것들을 다 사들이고, 비싸게 산다는것들은 모두 팔아주는거죠.

이런 메커니즘을 통해서 ETF는 항상 적정가를 유지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런 유동성 공급자가 항상 일을 잘하는것은 아닙니다. 실시간으로 작동하지 않는 종목도 종종 있으니 ETF를 투자하려는 분들은 이 유동성공급자가 일을 잘 하는지 여부를 잘 판단해서 투자하는것도 좋을것이라 생각됩니다.

Posted by myeva
,

오늘은 다소 진지한 내용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약간은 재미없을 수도 있는 내용이긴 한데 최대한 쉽게 풀어서 쓸 수 있도록 해보겠습니다.

미국 경기가 점차 좋아지면서 미국 금리 상승의 가능성을 점치고 있는 상황이긴 하지만, 한국경제는 여전히 여기저기 각종 악재로 인해 금리 상승은 아직 딴나라 이야기인것 같습니다.

사실상 제로금리 또는 마이너스 금리로 가고 있습니다. 금리를 조금씩 낮추는 이유는 현재 한국 경제가 저성장, 즉 디플레이션에 빠졌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왜 금리를 낮추면 또는 마이너스 금리가 디플레이션의 특효약일까요?

그 이유는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바로 수익률 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부동산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부동산의 통상적인 수익률이 약 5%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만약에 은행 금리가 6%라면 과연 부동산에 투자를 할까요? 아마도 부동산을 구입하거나 투자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고 전부 은행으로 달려가서 저축을 할것입니다.

이러한 이유에서 통상적으로 시중금리는 부동산과 같은 투자 상품들의 수익률 보다 조금은 낮게 책정하게 됩니다.

경기가 안좋아서 부동산과 같은 투자 상품의 수익률이 안좋아 진 상황을 가정해보겠습니다. 만일에 시중 금리가 사실상 -1% 이고 부동산 수익률이 1%라면 많은 사람들이 은행에 대출을 내어 부동산을 투자하게 될것입니다. 이 정도면 누구나 생각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죠.

이런 상황은 마트 같은곳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기있는 제품이라면 과거 허니버터칩 처럼 잘 안팔리는 물건에 인질로 같이 팔아도 될정도로 사람들이 서로 사려고 할것입니다. 하지만 인기가 점점 없어지면 할인 할인 하다가 나중에는 사은품으로 무료로 풀기도 할것이고 그것 조차도 안먹히면 나중에는 추가 할인쿠폰이나 추가 혜택같은걸 더 얹어서라도 팔게 되는 상황을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여기까지 정도 읽어보면 금리를 낮추는것이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좀 되겠구나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시중 투자상품들의 수익률이 마이너스가 되는 경우가 됩니다. 예를들어 시중은행금리는 -2%, 부동산 투자 수익률이 -1%라고 가정해봅시다. 그러면 수익률이 워낙 낮아서 손실을 보게되니 너도나도 투자상품에서 손을 뗄것입니다. 그렇다고 은행 대출을 이용해서 부동산 투자 하는 경우도 없을겁니다. 대신에 모두가 현금으로 보유하려 하겠죠. 은행에 넣어도 손실이고 부동산같은 투자상품에 투자해도 손실이니 모든 사람이 현금으로 유지할것입니다. 최소한 잔고가 유지는 될테니까요.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더이상 어찌할 방법이 없는 디플레이션에 빠지게 됩니다. 아무도 투자도 안하고 소비도 거의 하지 않는 상황이 될테니까요.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이 바로 전자화폐입니다. 현금을 모조리 전자화폐로 바꿔서 중앙은행이 직접 컨트롤 할 수 있도록 하는것이죠.

위에서 언급한것처럼 투자상품이 -1%, 예금이자도 -2%라면 모두가 현금으로 보유할텐데 이것을 막기 위해서 모든 현금을 전자화폐로 사용하게 만든뒤 전자화폐에 예금이자와 동일한 -2%의 수익률을 반영하는것입니다. 전자화폐는 중앙은행이 컨트롤 할 수 있기 때문이죠.

투자하면 1% 손해고, 전자화폐로 가지고 잇으면 2%손해이니 손해를 최소화 하는 방향으로 현금성자산이 이동하게 될것입니다.

단순히 마이너스 금리만 된다고 해서 디플레이션을 해결 하기란 어려운 부분이기 때문에 마이너스 금리가 실질적으로 효과를 보려면 중앙은행이 조절할 수 있는 전자화폐의 필요성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지금당장 실현가능한 방안은 아니지만, 추후에 이렇게 상황이 바뀔수도 있지 않을까요?

Posted by myeva
,


오늘은 조금 어렵게 느껴지는 양적완화를 쉽게 풀어볼까 합니다.


사실 양적완화라는 말은 뉴스에서, 매스컴에서 매우 자주 쓰이는 용어입니다. 그용어를 이야기 하면서 하는 표현이 바로 시중에 돈을 부린다는 말입니다.


양적완화를 한다고 하면 정말 시중에 돈을 막 뿌리는걸까요? 이부분은 실질적인 내용과 함께 이해하기 쉽도록 표현해보겠습니다.


양적완화가 돈을 뿌린다는 표현은 사실 틀린 표현은 아닙니다. 하지만, 말처럼 돈을 대량으로 생산한뒤에 누군가가 헬기를 타고 공중에서 돈을 막 뿌린다던지 아니면 불우이웃 돕기 하듯이 자산이 적은사람들 주머니에 얼마씩 쑥쑥 찔러준다던지 그런것은 아닙니다.


양적 완화를 좀더 정확하게 풀어보면 중앙은행에서 대량으로 화폐(돈)을 발행해서(찍어내서) 시중에 돌아다니는 장기채권(만기가 많이 남은 국채등)을 직접 사들인다는 말입니다.


양적완화를 하는 이유가 시중에 돈이 흘러다니지 않고 어딘가에 많이 묶여있어서 그것을 해소하고자 하는 목적에 시행하는것이기 때문에 장기채권을 매입하는데 많이 사용됩니다.


중앙은행, 한국이면 한국은행이 되겠죠? 한국은행에서 기준금리를 낮추는것 또한 시중에 돈을 많이 풀고자 하는 방법중 하나로 쓰이긴 하지만, 사실 이 기준금리는 은행간 국가간의 돈을 짧은 기간 빌릴때 사용하는 금리를 정하는것으로 단기 금리에는 영향을 주지만 장기적인 금리에는 영향을 주지 못합니다.


중앙은행이 돈을 마구마구 찍어내서 시중에 현금이 묶여있는 장기 채권들을 넉넉히 사들이면 그만큼의 현금이 시중에 생기게 됩니다. 유동성이 생긴것이죠. 장기 채권들을 사줘서 발생하는 현금이 모두다 시중에 잘 흘러간다고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그 돈으로 다시 다른 장기 채권을 살 수도 있는것이죠.


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장기채권을 산 사람이 있다면 그것을 팔은 사람도 있다는것이니깐 어떻게든 시중에는 중앙은행이 채권을 사준만큼 현금이 융통되게 되어있습니다.


게다가 매력있는 채권이 없다면 또다른 투자처를 찾기위해 채권에서 다른 곳으로 현금이 흘러들어가는 효과도 생기게 됩니다.


다시 말하면 시중에 채권에 묶여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 자산들이 많으니 이것을 정부에서 사들여 뭔가를 할 수 있는 현금으로 많이 바꿔준다는 이야기가 되겠습니다.


양적완화의 금액 규모 자체가 어마어마하기 때문에 그 영향은 무시할 수 없으며, 양적완화 소식이 전해지면 주가지수가 영향을 받는것이 바로 이때문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돈이 주식으로도 얼마든지 들어올 수 있고 또는 회사투자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죠.


양적완화에서는 이정도로만 이해하셔도 어지간한 관련 뉴스나 이슈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거라고 생각됩니다.

Posted by myev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