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이나 채권을 투자하는 입장에서 듣기싫은 뉴스가 참으로 많겠지만, 다른것 보다도 접하기 싫은 뉴스는 바로 워크아웃과 법정관리 일겁니다.


그런데 매스컴에서 이런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라는 용어를 종종 듣긴 하지만, 이 두가지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쉽게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워크아웃과 법정관리의 차이점을 비교적 쉽게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우선 워크아웃 부터 설명드리겠습니다.


교통상황에 비유하면 매우 편리합니다. 가령 매우 혼잡한 사거리가 있다고 합시다. 꼬리물기가 이어지고 신호가 바뀌어도 도통 해소될 기미가 보이지 않습니다.


이런경우에는 통상 모범운전자 택시기사 분들이 먼저 나서서 교통정리를 하곤 합니다. 봉사정신에서도 하시겠으나, 길이 막히고 하면 당장에 일터인 도로가 막혀 매출에 문제가 생기기도 하니까요.


이와 유사하게 워크아웃은 갚을돈을 제대로 갚지 못하는 상황의 회사를 두고 돈받을 사람끼리 모여서 본격적으로 회사에 간섭하는 상황입니다.


주로 대형 채권자인 은행이 되는경우가 많습니다. 은행외에도 받을돈이 있는 대부분의 대상이 워크아웃을 통해 참견할 권한이 있죠. 비록 당장에 돈갚을 여력이 없어 위태위태하지만, 그 당사자인 은행이나 채권자들이 모여 일단 돈 받는건 둘째치고 회사부터 멀쩡히 돌아가도록 하자 하며 모여서 의논하고 경영자에게 이래라 저래라 하는 과정이 워크아웃이죠.


다시 교통상황으로 돌아가보겠습니다. 모범운전사분들이 아무리 해도 도통 해소될 기미가 보이지 않습니다. 이럴때에는 모범운전사분들만으로 이 상황을 극복하는것이 불가능 하기 때문에 공권력인 교통경찰의 도움을 받게 됩니다.


교통경찰이 등장해서 직접 지시를 하면 그 누구든 그 신호에 따라야 하고 그것을 어기면 안되는 상황이 됩니다.


모두가 원하는대로 가지는 못하지만, 어떻게든 교통상황 해소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것이죠.


법정관리는 이와 같은 상황입니다. 워크아웃 상태의 기업이 이해당사자들(돈 받을사람들, 채권자)끼리 모여서 아무리 노력하고 고생해도 도무지 해결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이런경우 법원의 도움을 받게 됩니다. 이때부터는 돈 받을 사람이든 그 누구든 경영에 직접 간섭하지 못합니다. 오로지 법원에서 파견한 관리인만이 그 권리를 가지게 됩니다. 그래서 강제적으로 무언가를 실행해서 회사를 극단적인 상황에서 구제하려는 과정이 바로 법정관리가 되겠습니다.


위험 강도로 치자면 법정관리가 훨씬 높습니다.


이말을 달리하면 주식을 가지고 있는 주주나 회사채에 투자한 채권자들은 두가지 상황중 무엇이 위험하냐면 법정관리가 매우 위험한 상황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워크아웃중에는 회사가 위태위태하더라도 내가 투자한 금액이 당장 어떻게 되지 않고 잘만 하면 투자금 회수가 가능한 상황이 됩니다.


하지만,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그 누구도 경영에 권한을 행사하지 못하기 때문에 나의 투자금은 어떻게 될지 알수 없는 상황이 됩니다. 자칫 잘못하면 투자금 회수가 불가능하게 될수도 있죠.


가능하면 들리지 않는것이 좋은 용어이지만, 혹시나 뉴스에서 접하더라도 회사의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Posted by myeva
,


요즘에 신용카드 한장 없는 사람은 없을겁니다. 사실상 포화상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그런데도 여전히 카드권유하는건 끊임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카드는 카드 권유인이 권하게 되는데 그건 충분히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런데 신용카드와 상관없을법한 은행에서 자꾸 카드를 만들라고 하니 이건 도데체 어떤관계일까요? 무슨 일이 있는걸까요?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은행에서 주로 가입하라고 하는 신용카드는 대게 은행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카드일겁니다. 신한은행은 신한카드, 우리은행은 우리카드, 국민은행은 국민카드, 그외에는 BC카드일거구요. 은행에서 삼성카드나 현대카드를 만들으라고 하는 경우는 못보셨을겁니다.


카드를 만들면 통상 대출 이자를 일부 깎아주기도 하고 심지어는 은행 금리를 더 처주는경우도 있죠.


어떤 연유에서 이렇게 적극적으로 권유하고 있을까요?


그것은 바로 카드 수수료 때문입니다.


사실 신용카드는 초반에나 혜택을 열심히 찾아서 받으려고 하지 조금만 지나면 혜택은 혜택이고 그냥 저냥 쓰던것을 쓰게 됩니다.


고객이 일반 상점에서 10만원을 긁으면 카드사는 가맹점으로부터 수수료를 약 2천원 정도 떼갑니다.


약 2%의 해당하는 수수료이죠.


대출 정도나 쓰는 사람이라면 소득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런 분들은 신용카드 사용금액이 상당히 크죠.


한해에 신용카드로 2천만원 정도 사용하게 되면 카드사는 한 고객에게 연간 40만원 정도의 수익을 가지고 갑니다.


신용카드의 유효기간이 통상 5년이기 때문에 한번만 고객을 잘 잡으면 5년간 200만원이라는 어마어마한 수익을 고스란히 가지고 갈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냥 편하게 카드모집인을 통해서 모집할것이지 왜 은행에서 자꾸 권하는것일까요?


그것은 바로 마케팅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이죠. 보통 카드를 가입하게 되면 가입 수수료로 카드모집인에게 소정의 금액을 수수료로 지급하게 됩니다.


그런데 은행에서 이런저런 이유로 해서 가입시키면 카드모집인을 통한것 보다 훨~씬 저렴하게 가입이 가능하죠.


물론 카드사도 공짜로 은행에게 시키는것은 아닙니다. 은행에서 가입하게 되면 카드사는 은행에 카드 1장당 얼마씩 수수료로 주긴 합니다만, 그 금액이 상당히 저렴하죠.


저렴하니깐 이왕이면 은행에서 가입시키는것이 좋고, 은행이라면 권유 강제성이 조금더 높아지니 가입성공률도 좋고 말이죠.


카드사에서는 비용도 적은데 효과도 좋은 카드 가입채널이 되겠습니다.


이러한 이유에서 은행에만 가면 너도나도 할것없이 카드를 권하게 되는 이유입니다.


아무쪼록 은행에서 카드가입을 권유(강요)하는 이유에 대한 궁금증이 해소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Posted by myeva
,

세금을 연체(체납)하면 신용등급이 떨어진다는 말을 들어본적 있으신지요?


보통 세금만은 철저히 납부하는 분들이 많기 때문에 이런 걱정을 해본적은 없을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런데 세금을 연체하면 신용등급이 떨어지는것은 사실이라는것.


왜 그런건지. 그러면 세금 연체하는 즉시 신용등급이 떨어지는건지 등에 대해서 간단하게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에 종종 언급했지만, 신용등급은 국가에서 정하는것이 아니라 신용등급 회사에서 정하게 됩니다.


각종 은행, 대부업체, 캐피탈, 신용카드사, 통신사 등에서 정보를 받아서 종합적으로 평가하는것이 바로 신용등급인데요, 여기에 바로 세금 체납(연체) 정보도 포함됩니다.


이때문에 세금을 체납하게 되면 신용등급에 영향을 줄수 있습니다.


그런데 세금 금액을 보면 몇천원 부터 몇만원까지 다양하죠? 그거 하나 연체되었다고 곧장 신용등급이 달라지면 너무나 억울할겁니다.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어지간한 금액의 세금 연체는 신용등급에 반영되지 않구요 세금으로 신용등급에 영향을 주려면 500만원 이상이 체납되거나 연체되면 신용등급에 악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그러면 여기서 한가지 궁금해지는 것이 있습니다. 세금을 체납하거나 연체하면 신용등급에 악영향을 주는데, 세금을 성실히 납부한것은 신용등급에 좋은영향을 주지 않을까 입니다.


정답부터 말씀드리면 안타깝지만, 성실히 납부한 세금의 노력은 신용등급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한다 입니다.


국세청과 같은 기관에서 연체 정보는 신용평가회사에 전달하지만, 성실히 납부한 정보에 대해서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반영이 안된다고 합니다.


세금의 경우에는 신용등급과 무관하다고 생각하신 분이 있다면 이 기회를 통해서 연관성이 있다고 알아두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물론 큰 금액에 대해서만 말이죠.

Posted by myeva
,


초 저금리 상황이 유지되고 또 조만간 또한번의 금리 인하가 있을법한 상황이기도 합니다. 물론 미국은 금리를 소폭 올리고 있지만, 아직은 한국에서는 좀 먼 이야기 같네요. 한국 경제를 위해서도 아직은 금리 상승의 시기는 좀 먼나라 이야기가 아닐까 싶습니다.


어쨌거나 그러다보니 자연스레 또다른 투자수단을 찾아나설 수 밖에 없는 현실입니다. 사실상 은행의 금리는 거의 제로 금리에 가까워 지고 있기 때문이죠.


그러다보면 어디에 투자할까~ 고민하는데요, 사실 따지고 보면 투자 수익률이 다들 대동소이 하고 비슷비슷하게 되어있습니다. 그렇다면 결국 별도의 비용이 적은 상품을 가입하는게 유리한데요, 그러다보면 결국 선택선상에 나타나는것이 바로 상장지수펀드 즉, ETF 입니다.


ETF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한다면 바로 저렴한 운용보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ETF도 결국 펀드인데 왜 ETF는 유독 운용보수(수수료)가 그토록 저렴할까요? 오늘은 이 부분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펀드는 내가 일일이 투자처(주로 주식)를 찾기 어렵고, 매일매일 관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투자 경력이 많은 투자 전문가들에게 맡겨서 내 대신에 자산을 운용시켜 수익을 만들고 그 댓가로 운용보수(수수료)를 지급하게 됩니다.


게다가 일반적인 펀드는 증권회사나 은행을 통해 다양한 서류를 통하여 가입해야 하고 제약 조건도 다양하게 있습니다.


그런데 ETF는 재미있게도 그러한 투자 전문가가 없는 펀드입니다. 뭔가 말이 이상하죠? 그럼 어떻게 수익을 결정하고 운용하게 될까요? 바로 이부분이 핵심인데요, ETF는 사전에 정해진 종목에 정해진 비율만큼 투자하기로 정해놓은 투자상품입니다.


ETF를 만들때에 이러이러한 종목에 이러이러한 비율로 무조건 투자한다는 조건을 만들어놓고 그대로 돌아가게끔 만들어 놓은것이죠. 그러니 전문투자자는 ETF를 만드는 시점에만 간섭하고 나머지는 자동으로 굴러가게 됩니다.


그러다보니 ETF는 사람에게 줄 운용보수(수수료)가 매우 적거나 없습니다.


ETF는 초반에는 거의 코스피200 지수를 추종하는 종목에 제한되어서 선택의 폭이 넓지 못했으나, 지금은 ETF 섹터 종목만 해도 다양합니다. 은행종목 위주의 ETF, 조선주 위주의 ETF 등과같이 업종별로 나뉘어저 있기도 합니다.


ETF는 거래 부분에서도 일반 펀드와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 어차피 사전에 정해진대로 돌아가기 때문에 별도로 복잡한 계약서가 필요 하지 않고 증권시장에서 일반주식처럼 장중에 원하는 금액에 매입과 매도를 할 수 있습니다.


덕분에 환금성이 매우 좋아 펀드보다 인기가 많아지고 있죠.


ETF는 어떻게 생각하면 환율하고 비슷하기도 한데요, 달러가 올랐을때 팔고 달러가 내렸을때 사는것 처럼 ETF도 이와 유사하게 거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KODEX와 같은 종목은 KOSPI200을 추종하기 때문에 개별종목의 상태를 신경쓰지 않고 지수 자체만 고려하면 되니 어떻게 보면 좀더 간단한 투자 판단이 가능하다고 생각되기도 하네요.

Posted by myeva
,


안녕하세요? 오늘은 볼때마다 아리송한 리스와 렌트카에 대한 이야기를 할까 합니다.


차는 당장에 바꾸고 싶은데 손에 쥐고 있는 돈은 없고 그럴때 한번씩 확인해보게 되는것이 바로 렌트와 리스입니다.


렌트와 리스는 당장에 목돈을 손에 쥐고 있지 않더라도 차를 즉시 바꿀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돈을 내는 모양새를 보면 그게 그거 같은데 왜 렌트와 리스가 다르게 나오는걸까요?


이 두가지에 대한 차이점을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렌트입니다. 렌트카 라고도 부르고 장기렌트, 장기렌트카 등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이것은 매우 간단하고 이해하기 쉽습니다. 정해진 차종에 대해서 매달 이용료를 내고 차를 사용하게 됩니다. 이용한만큼 요금을 내는것이죠. 그게 전부입니다. 대신에 빌려 쓰는것이기 때문에 차는 여전히 렌트카 회사의 것입니다. 내것이 되지 않죠.


하지만, 리스는 조금 다릅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매달 내는 금액이 유사하게 보이지만, 리스는 실질적으로 리스회사의 차량을 빌려쓰는게 아니라 내가 차를 사는데 돈을 리스회사에 빌리고, 그 담보로 차를 등록키는것이죠. 그래서 매달 원금과 이자를 갚아나가게 됩니다. 실질적으로 소유주는 차를 구입한 내가 되는것이죠.


 그런데 이렇게 설명하고 마무리 하기에는 뭔가 너무 뻔한 이야기 같고 느낌이 잘 오지 않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래서 좋은 비유를 하나 할까 합니다. 바로 집 입니다.


월세로 사는것과, 내집을 사는것과의 차이로 설명해볼까 합니다.


 렌트카는 바로 월세로 사는것이죠. 월세로 산다고 해서 그 집이 내것은 아닙니다. 사는동안에 월세를 내는것이고 기간이 끝나면 월세는 더이상 내지 않게 됩니다. 월세를 낸다고 해서 이집이 내집은 아니죠. 집주인은 별도로 있습니다.


 리스는 집을 살때 은행에 주택담보대출(아파트담보대출)을 이용하는것과 비슷합니다. 집을 살때 은행의 돈으로 일단 사고 남은기간동안에 원금과 이자를 갚아나가는 방식이 되겠습니다. 갚는 기간을 어느정도 길게 둔다면 월세 금액과 원금이자 금액이 거의 비슷하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경우에는 내집에 사는것이죠. 물론 내집에 살지만 은행집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은행이 집을 담보로 잡고 있기 때문이죠.


 다시한번 정리를 해보자면 렌트는 10년짜리 월세, 리스는 10년만기 상환 아파트 담보대출 이라고 생각하시면 아주 쉽다고 생각되네요.


 렌트는 렌트회사차, 리스는 내차. 이제 확실히 구분 되시나요? ㅎㅎ

Posted by myeva
,